반응형

금융/에쎄이 정리

(220104)2022년 연간 전망(3) - 기묘한 이야기 3부

오늘은 연간 전망으로 진행하고 있는 5가지 기묘한 이야기… 3번째 에세이를 전해드립니다. 오늘은 중국에 대한 얘기인데요… 중국이 처해있는 딜레마죠. 시간이 많지 않으니 바로 본론으로 들어갑니다. 터키에서 보셔서 아시겠지만 신흥국 중 터키가 미국과 역주행을 하는 가장 큰 이유… 미국의 경기는 아주 강하고 탄탄한데… 신흥국은 상대적으로 매우 연약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신흥국은 자체 경기를 생각하면 금리를 낮추어야 하고… 미국의 경우 자국의 경기를 생각해서… 그리고 자체 인플레이션 압력을 생각해서 금리를 올려야 하는 거죠. 다만.. 미국의 금리가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국가 금리와 비교해서 워낙 압도적이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 겁니다. 이런 문제에서 중국 역시 자유로울 수 없죠. 중국은 두차례 미..

2022.01.06 게시됨

금융/에쎄이 정리

[펌]2022년 연간 전망(2) - 기묘한 이야기 2부

즐거운 주말되셨나요? 2022년 연간 전망 2부를 진행합니다. 기묘한 이야기라는 타이틀로 쓰고 있는데요, 5가지 기묘한 이야기 중 지난 1부에서는 3개의 이야기를 적어드렸죠. 이번에는 4번째 기묘한 이야기를 적어드려볼까 합니다. 그런데… 들어가기 전에… 이거 생각보다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금리에 대한 얘기가 많기 때문이죠. 지난 해 12월 중순 뉴욕 연준의 윌리엄스 총재(연준 내 서열 3위죠)가 인터뷰에서 실질 금리가 중요하다는 코멘트를 남겼죠. 인용하고 시작하죠. “윌리엄스 총재는 인플레이션은 연준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빠르게 금리를 올릴지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며 연준은 실질금리에 주안점을 두길 원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연준이 실질금리를 중립 금리라고 생각하는 수준으로 되돌릴 것이라면..

2022.01.05 게시됨

금융/에쎄이 정리

[펌](220101)2022년 연간 전망(1) - 기묘한 이야기

힘찬 한 해가 시작되었네요. 호랑이의 해라고 하는데요, 호랑이의 기상만큼 우리나라 경제도 쭉쭉 뻗어나갈 수 있는, 그리고 페친님들과 카페 회원님들도 원하시는 모든 일들 이룰 수 있는 그런 한 해가 되었으면 하고 간절히 소망해봅니다. 그리고 하나 더, 올해는 꼭 마스크를 벗을 수 있기를… 이제 정상의 세상으로 돌아갈 수 있기를 한 번 더 기원해보면서 올해 첫 에세이를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연간 전망 시리즈 중 하나인데요… 5가지 기묘한 이야기를 말씀 드려볼까 합니다. 첫번째 이야기입니다. 양적완화의 역설인데요… 양적완화를 했던 이유가 무엇일까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자산 시장까지 붕괴되면서 전세계적으로 디플레 압력이 커지게 되자 무제한 돈 풀기에 나서게 된 겁니다. 양적완화를 국채를 매입하면서 돈을 풀어주..

2022.01.04 게시됨

[펌](211230)양적긴축의 군불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에쎄이 정리

[펌](211230)양적긴축의 군불

연말이라서 그런지, 그리고 배당락까지 있어서 그런지 시장에 대한 관심이 살짝 줄어든(?) 그런 느낌입니다. 개인적으로 3일간 휴가를 다녀왔구요ㅎㅎ 올해 3월 정도에 연말 휴가를 처음 계획할 때에는 12월 마지막 주 즈음이면 애들 방학도 하고 코로나도 풀려서 어디 해외도 놀러갈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있었거든요… 그런데 참.. 어이없이 무너졌습니다. 마스크는 여전히 쓰고 있고 수업 일수가 모자라서 애들이 아직 방학을 못했거든요. 진짜 지겹네요… 내년 말에는 마스크… 벗을 수 있을까요.. 다시금 최고치를 기록하는 유럽의 코로나 상황이나… 조금은 수그러들긴 했지만 방심할 수 없는 한국의 코로나 상황만 봐도 내년에도 만만치 않겠다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골드만 삭스를 비롯한 외국계 IB에서는 이번 오미..

2022.01.01 게시됨

금융/에쎄이 정리

[펌] (211228)터키 불안, 태풍의 핵이 될까?

https://cafe.naver.com/ohrang/2655 (211228)터키 불안, 태풍의 핵이 될까?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터키에 대한 설명을 해달라는 분들이 좀 계셔서요… 22년 전망과도 연관되어 있는 만큼 터키 얘기를 좀 하고 지나가겠습니다. ​ 우선 구도는 동일합니다. 성장과 금리라는 구도가 있는데요…. 미국의 성장이 강하고… 그런 성장을 바라보면서 미국 연준은 기준 금리를 인상하죠. 원래 연준이 다른 국가들 상황을 많이 봐주곤 하는데요… 이번 만큼은 다른 듯 합니다. 바이든 행정부의 지지율부터 시작해서 미국 내 물가 상승 압력이 너무 높아지는 만큼 지금 미국 코도 석자이니.. 당연히 기준 금리 인상 속도를 빠르게 가져가겠다고 시그널을 줄 수 밖에 없..

2021.12.29 게시됨

금융/에쎄이 정리

[펌] (211226)2022년 투자를 좌우할 세가지 편견

이제 12월의 마지막 주네요. 내년에는 또 어떤 한 해가 기다리고 있을까.. 마스크는 과연 벗을 수 있을까.. 올해처럼 강한 상승세는 계속해서 이어질까… 이런 생각들이 계속 머릿 속을 맴돌고 있죠. 그리고 몇 가지 아이디어들도 교차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세가지 투자 전략에 대한 말씀을 좀 드려볼까 합니다. 하나는 인플레 헤지 자산으로서의 원자재구요, 다른 하나는 빅테크를 비롯한 미국의 대형 성장주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하나는 금인데요, 주말 에세이이니 만큼 분량이 좀 나올 듯 하네요. 많은 투자자분들과 말씀을 나누어보면 내년에 가장 필요한 자산으로 꼽는 테마.. 바로 인플레이션을 헤지할 수 있는 자산입니다. 올해 뜻하지 않게 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현재의 인플레이션이 상당한 충격을 준 듯 합니다. 저..

2021.12.27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