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패스코리아] 파생상품투자권유자문인력 24년 5월 합격수기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취준이 하고싶다면

[이패스코리아] 파생상품투자권유자문인력 24년 5월 합격수기

#이패스코리아 지난 CFA level1 / FRM part1, 2 / 투운사에 이어이번에도 자격증 취득에 이패스코리아의 신세를 졌다.대한민국 금융권에 발 딛는 사람 중 이패스코리아의 신세를 지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있겠지... 하여간 그 만큼 비교적 높은 질의 강의를 제공한다.(비교적이라는 부분은 꽤 중요하다.)강의의 질보다 중요한 건 이런 저런 부대서비스라고 생각한다.모의고사, pre-step 강의, 심화문제풀이 등등? 기획 차원에서 신경을 크게 쓴 느낌이 있다.  #시험준비 시험준비는... 벼락치기였지.1, 2과목 파생상품은 공부하던 게 있으니 보지도 않고, 3, 4과목만 강의를 정주행했다.아주 모르던 분야라도 강의한번 들으니 문제푸는 데는 큰 도움이 되었다.특히 위에 문제 하나, 아래 핵심개념이 정..

2024.05.31 게시됨

금융/에쎄이 정리

[펌](231214)12월 FOMC 관전평 - 비둘기 합창

https://cafe.naver.com/ohrang/3748 (231214)12월 FOMC 관전평 - 비둘기 합창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요약 1. 12월 FOMC 성명서와 파월 기자회견에서는 비둘기적 발언이 쏟아짐. 1.1. 내년 3회(前 1회) 금리인하 1.2. 26년 말까지 4% 이하로 예상하는 이사 1명(前 5명) 1.3. 물가 예상치 하락, 성장 예상치 상승 2. 양적긴축은 경기가 급격히 냉각되지 않는 이상 줄이지 않을 것. 3. 시장은 환호, 특히 중소형주, 신흥국 위주로 좋아짐. 서프라이즈 급의 FOMC가 끝났습니다. 비둘기로의 급선회.. 마치 지난 달 월러 이사가 큰 변화를 보여주었던 수준의.. 그리고 ECB의 슈나벨이 보여준 급선회와 거의 비슷한..

2023.12.14 게시됨

금융/에쎄이 정리

[펌](231201)금리 인하 VS 양적 긴축

(231201)금리 인하 VS 양적 긴축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각설하고 바로 들어갑니다. PCE지표 발표나 잠정주택판매 등의 소식은 아마 다른 채널을 통해서 충분히 들으셨을 겁니다. 오늘은 양적 긴축을 다루어볼까 합니다. 일단 스타트는 전일 유럽에서 들려온 소식으로 시작하죠. “유럽중앙은행(ECB)이 연방준비제도(연준·Fed)보다 먼저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시장의 전망이 강화되고 있다. 30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틱밀 그룹의 제임스 하테 애널리스트는 유로존의 최근 인플레이션은 중앙은행의 목표치인 2%를 약간 웃돌고, 최근 지표로 볼 때 유로존 경제가 완만한 침체 상태임을 시사하면서 트레이더들은 "ECB가 내년 4월까지 금리를 인하할 것을 완전히 가격에 반..

2023.12.03 게시됨

금융/에쎄이 정리

[펌](231102)강화된 금융 여건이 금융 시장을 완화적으로 만든다?

(231102)강화된 금융 여건이 금융 시장을 완화적으로 만든다?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요약 1. FOMC는 예상대로 동결, 12월도 동결로 점쳐짐, 연준 성명서에도 금융사이드(시장금리) 고려해야 한다는 발언 확인 2. 성장은 예상보다 낮음(고용도 조금 둔화, 제조업도 둔화) 3. 그래서 실제로 시장금리 확 밀렸는데(4.73%), 이게 인플레 유발할 수 있음. 딜레마임. FOMC관련으로 간단한 관전평 전해드립니다. 우선 전반적으로 언론이 주목하는 것처럼 성명서에 포함된 “financial”.. 즉, 금융 여건이 연준 통화 정책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반영했다는 점이 크다고 봅니다. 10월 7일 로리 로건의 기간 프리미엄 발언과 그로 인해 장기 금리가 올라서 연준..

2023.11.05 게시됨

금융/에쎄이 정리

[펌](231101)11월 FOMC 관전포인트!

(231101)11월 FOMC 관전포인트!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요약 1. 11월 FOMC는 데이터 부족으로 무난히 지나갈 것. 그러나 성장에 대한 연준의 코멘트는 지켜봐야 함. 2. 시장금리 인상은 기준금리 인상의 역할을 한다는 데에는 모두 동감함. - 그러나 성장이 너무 쎄다면(고용의 타이트함, 심한 인플레)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 - 12월에 성장률 전망치가 어떻게 수정될 지 지켜봐야 함. 아침에 적어야 하는데 죄송합니다. 점심 나절이 되어서야 포스팅을 하게 되네요. 내일 아침 발표될 FOMC, 대충 내용은 다른 언론 보도를 통해 대부분 확인을 하셨을 겁니다. 어떻게 보면 올해 FOMC 중에서 가장 재미없는 FOMC라는 느낌이 듭니다. ..

2023.11.05 게시됨

금융/에쎄이 정리

[펌](231009)높은 금리에서 살아남기

(231009)높은 금리에서 살아남기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요약 1. 포워드 가이던스는 장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단점이 더 부각되는 중. 인하의 조그마한 시그널만 나와도 인하압력이 자극되어서 물가가 쉽사리 잡히지 않는 등... 한 분이 저한테 그런 질문을 주시더군요. 중앙은행 코멘트를 들어봐도 특별할 것이 없다라구요.. 대부분 데이터 보면서 결정하겠다라는 얘기를 하고 있는데.. 당장 금리 인상 인하에 대한 힌트라고는 전혀 찾아볼 수 없으니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말씀이 핵심이었습니다. 물론 당장의 수익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연준이 긴축에서 완화로 돌아서주는 것이 필요하기에 2019년 7월에 밝혔던 것처럼 기준금리 인하를 시사한다거나 혹은 2020년 내내 파월 의..

2023.10.09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