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

[펌] (210318)FOMC 간단 리뷰

노트북을 켜니.. 업데이트하신다고 기다리시라는데… 와… 속이 타들어가는 줄 알았습니다. 아침에 회의도 있고 해서 어쩔 수 없이 아주 간단히만 적어보겠습니다. ​ 우선 오늘 새벽 FOMC의 관건은 다음의 네가지였죠. ​ (1) 코로나 패닉 국면에서 도입한 특혜 중 하나인 SLR 완화 조치 연장 여부 (2) 단기 금리 마이너스 하락에 대응하기 위한 IOER인상 여부 (3)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도입에 따른 장기 금리 상승 제어 여부 (4) 뜻하지 않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예상보다 빠른 기준 금리 인상 여부(요게 점도표와 연계되어 있는 거죠) ​ 네.. 이렇게 4가지인데요, 먼저 (4)번은 이번 FOMC에서 파월 의장이 제대로 클리어를 해주었죠. 사실 2주 전부터 장기 금리가 아니라 단기 금리가 상승하는 모습이..

2021.03.20 게시됨

금융

[펌] (210316)FOMC의 또 다른 관전뽀인뜨~ IOER!

이번 FOMC관련으로 Fed가 IOER을 인상할 수도 있다.. 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죠. 이게 뭔 소리냐… 라는 질문을 해주시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와.. 이거 참.. 설명하기 쉽지 않은 이슈인데요.. 이번 에세이는 궁서체로 써야하지 않나 싶네요… 진지하게 가봐야 할 듯 합니다. ​ 이렇게 시작해보죠. IOER은 Interest on Excess Reserve의 약자입니다. Reserve는 시중은행들이 중앙은행에 자금을 예치하도록 하는 지급준비금이라는 겁니다. 시중은행은 예금이 100원이 들어오면 90만큼은 대출해주고.. 10원은 쟁여두죠. 언제 예금자들이 돈을 달라고 할지 모르쟎아요… 그럼 10원을 어따 쟁여두느냐… 이걸 중앙은행의 지급준비금 계좌에 넣어둡니다. 10원은 법으로 정해져있죠. 그래서 1..

2021.03.20 게시됨

금융

[펌] (210312) 금리 시장에서의 작용과 반작용

ECB에서 국채 매입 속도를 늘리겠다는 코멘트가 나왔죠. 1조 8500억 유로 규모로 국채를 사들이고 있는데요, 이 규모 자체를 늘리는 것은 아니구요… 매월 600억 유로씩 국채를 사들이는데, 이걸 1000억 유로 이내에서 사들이는 것으로 국채 매입 속도를 늘리겠다고 코멘트를 했습니다. 더 많이 사주겠다면 좋았을텐데, 그래도 최근 분위기에서 이런 얘기가 나와주는 것만으로도 쌩큐죠. 금리 상승세가 가뜩이나 부담스러웠으니까요.. ​ 독일 국채 금리도 10년 기준 -0.7%수준이었던 것이 지금은 -0.3%수준까지 올라왔고 프랑스 금리는 한 때 플러스 전환이 된 적도 있었습니다. 국채 금리의 상승은 재정 적자가 심각한 국가들에게는 상당한 타격을 주게 되죠. 유럽은 2011년에 유럽 재정위기를 심각하게 겪었던 바..

2021.03.14 게시됨

금융

(200310)SLR규제에 대한 답변

전일 뉴욕 증시, 제대로 불을 뿜었습니다. 지난 몇 일 동안의 움직임과는 전혀 상반된 모습이 나타났는데요, 나스닥 지수는 4%가까이 상승했지만 다우존스 지수는 강보합 정도에 그치는 모습이었죠. 이유는 간단합니다. 전일 미국 10년 국채 금리가 하락하면서 1.5%초반대로 내려왔죠. 1.6% 선을 두 차례 넘었다가 두 번 다 눌리는 모습이 나타났는데요, 시장에서는 이제 국채 금리 상승세가 거의 끝나간다.. 라고 보는 듯 합니다. 우려를 모았던 국채 금리 상승세가 주춤하자 금리 상승에 의해 눌려있었던 자산들이 스프링처럼 튀어오르게 되죠. 대표적인 케이스가 금입니다. 온스 당 1700불을 하회했던 금 가격이 큰 폭으로 튀어오르면서 1700불선을 회복했구요, 달러가 약세를 보이면서 달러 강세 시기에 가장 힘겨워하..

2021.03.13 게시됨

금융

[펌] (210309)금리 상승에 부담을 느끼는 자산

여전히 미국 국채 금리 상승이 시장에 부담을 주는 듯 합니다. 금리 상승으로 인해 주식 시장 중 금리 상승에 민감한 성장주가 흔들리는 그림이 나왔구요, Fed의 통화 정책 변화 및 금리 상승에 매우 민감한 금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온스 당 1700불을 하회하고 있습니다. 달러화는 강세를 보이고 있고, 달러 강세와 미국 금리 상승이라는 이중 부담이 이머징 시장에 타격을 주고 있네요. 전형적인 미국 금리 상승 시기에 나타나는 충격입니다. ​ 이런 비슷한 그림이 2015년 하반기~2016년 상반기에 일어났었죠. Fed가 15년 12월에 첫 금리 인상에 돌입했습니다. 그러면서 2016년에만 4차례, 2017년에 4차례 추가 인상을 예고했었답니다. 기준 금리는 0.25% 밖에 올리지 않았지만 장기 국채 금..

2021.03.13 게시됨

금융

[펌](200307) YCC vs 오퍼레이션트위스트

오늘은 주말 에세이지만 간단하게 코멘트 드리고 지나갈까 합니다. 미국 장기 금리 상승이 일어나면서… 당장은 아니겠지만 과연 Fed가 어떻게 장기 금리를 누를 수 있는가… 라는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네..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요… 가장 대표적인 케이스가 양적완화입니다. 양적완화를 늘리는 거죠. 양적완화는 장기국채를 매입하는 것이라 했습니다. 미국에서 추가적인 경기 부양책이 통과되면서 시장에서는 국채 발행이 급증할 것이라는 우려를 키우기 시작했죠. 올해만 해도 장기 국채 발행 물량이 2조 달러가 넘는 수준이 될 겁니다. 장기 국채의 발행이 늘어난다는 것은 장기 국채 시장에 들어와서 정부가 돈을 많이 빌려간다는 의미가 되죠. 그럼 국채 공급이 늘어난만큼 국채 가격이 하락하면서 국채 금리가 튀어올라..

2021.03.07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