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

[펌] Fed가 바라보는 주가하락의 심각성

미국 국채 금리 상승세가 한풀 꺾이는 것일까요.. 장중 한 때 1.6%까지 치솟았던 미국 10년 국채 금리가 다시금 1.4%대 초반으로 밀려내려왔구요… 장기 금리 상승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던 나스닥 지수는 0.5%정도 반등에 성공하면서 최근 하락세에서 잠시나마 숨을 돌리는 모습입니다. 그런데요… 이런 뉴스가 나오고 있네요. “미국 1.9조 달러 경기부양안 하원 넘어 상원으로”(뉴스1, 21. 2. 27) ​ 이 기사 타이틀을 보시면 느낌이 어떠신가요? 대형 호재인가요? 여기서 중요한 게 하나 있습니다. 어느 시장에 대형 호재인지를 생각해보는 겁니다. 네.. 주식 시장에는 성장을 추동할 수 있으니 좋은 얘기가 될 수 있겠지만 채권 시장에는 그리 좋은 일이 아닐 겁니다. 1.9조 달러를 지출하기 위해 그만큼..

2021.03.05 게시됨

금융

[펌] (200303) 호주가 준 감동

전일 뉴욕 증시를 비롯한 글로벌 금융 시장 큰 폭 강세 전환했죠. 최근 논란의 중심에 있었던 미국 10년 국채금리는 소폭 상승하는데 그치면서 다소나마 진정세를 보였습니다. 국채 금리 상승세가 주춤하자 최근 금리 상승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면서 초긴장 모드를 보였던 나스닥을 비롯한 기술주가 기다렸다는 듯 초강세를 보였죠. 나스닥 지수는 3%이상 상승하면서 지난 주 후반부의 낙폭을 상당 수준 회복했습니다. 그리고 낙폭이 컸던 비트코인과 테슬라의 상승폭도 상당했죠. 그럼 이제 시장이 걱정하던 국채 금리의 빠른 상승세는 어느 정도 지나간 얘기가 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실 수 있는데요.. 일단 전일 글로벌 채권 시장에서의 금리 상승세가 진정된 원인이 무엇인지부터 짚고 넘어가는 게 좋을 듯 합니다. 우선 ..

2021.03.05 게시됨

금융

[펌](210304) Fed의 속내

연 이틀 아침에 엄청 추웠는데 오늘은 날씨가 많이 푹해졌네요. 아침에 별도 회의가 있는 관계로 아주 간단하게 말씀을 드리고 지나가겠습니다. 전일 에세이를 쓰지 못한 관계로 연 이틀 있었던 말씀을 전해드려야 할 것 같은데요… 우선 파월의 후임으로까지 거론되는 라엘 브레이너드 이사가 지금 현재 국채 금리의 상승세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라는 얘기를 했죠. 그러면서 국채 금리의 상승 속도와 채권 시장의 반응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참.. 월가에서도 현재의 금리 상승세를 깔끔하게 눌러주기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는 모습입니다. 아직 만료가 되려면 상당한 시간이 남아있는 파월 의장의 임기까지 얘기하면서 파월의 후임자인 브레이너드가 말했으니… 이제 Fed가 움직일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는 것을 보면요.. 우선 브레..

2021.03.05 게시됨

[펌] (210205) 표면화된 부양책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205) 표면화된 부양책

전일 뉴욕 증시.. 현상만 간단히 말씀드리면요… 주가는 상승했고.. 금리는 뛰어올랐습니다. 그리고 달러는 강세를 보였고 금 가격이 예리하게 하락하면서 온스 당 1800불 선을 하회했습니다. 대표적으로 경기가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강해질 때 이런 장세가 형성됩니다. 아니아니.. 달러가 강세쟎아요? 미!국!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강해질 때 이런 장세가 나타나곤 하죠. 미국의 성장이 뚜렷해지면서 미국 주가는 오르구요… 미국의 성장 및 금리가 높은 수준을 형성하니.. 미국 자산의 매력이 높아지면서 미국 자산을 사들이기 위한 밑밥… 즉 달러화에 대한 수요가 늘게 되니 달러가 강세를 보이게 되죠. 달러 강세, 금리 상승.. 그리고 성장이 나와준다는 기대.. 이 삼각 파도는 금 가격에는 쥐약이 됩니다...

2021.02.25 게시됨

[펌] (210203)달러 강세의 이유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203)달러 강세의 이유

오늘은 퀵하게 달러에 대한 말씀을 드려보죠. 지난 해 11월 이후 달러 약세 기조가 강해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컸는데요… 달러 인덱스 기준으로는 90포인트, 달러원 환율 기준으로는 1080원, 달러 위안 기준으로는 6.43위안, 유로 달러 기준 1.23달러에서 일정 수준 되돌림이 나타나는 모습입니다. 달러원 환율은 달러 당 1120원 수준까지 빠른 반등세를 보였구요. 달러 위안 환율은 달러 당 6.46위안, 그리고 유로 달러는 1.20달러까지 하락했죠. 달러 인덱스는 현재 91포인트를 넘어서면서 급격한 달러 약세 기대의 예봉을 꺾어버린 모습입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난 가장 큰 이유.. 이렇게 생각해볼 수 있을텐데요.. 우선 달러의 약세를 맞이하는 다른 국가들의 대응입니다. 중국과 유럽이 대표적인 케이스라고..

2021.02.20 게시됨

[펌] (210130)시장이 느끼는 긴장감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30)시장이 느끼는 긴장감

개인적으로 겨울을 그리 좋아하지 않습니다. 춥다보니… 아침에 이불 속에서 나오는게 불편하더군요. 그러다보니 출근 시간이 10~20분씩 늦어지게 되는데.. 그러다보면 에세이 포스팅 역시 예전보다 조금 더 늦어지는 일이 생기곤 합니다. 솔직히 추워서 그런다기보다는 게을러져서 그런 거겠죠.. T.T 겨울도 이제 막바지를 지난 만큼 담주부터는 몸과 마음을 추스르고 좀 더 일찍, 그리고 자주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그런데.. 일단 지난 한 주 마켓 분위기는 정말 뒤숭숭했죠. 코스피 지수는 3000선을 내주었구요… 다우 존스 지수도 30000선이 무너졌습니다. S&P500지수도 3700선이 위협받았고 나스닥 역시 13000선을 하회하고 있죠. 선진국 주요 지수는 전반적으로 5% 수준의 하락세를 보였는데요..

2021.02.20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