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펌] (210112)익숙하지 않은 시장 움직임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12)익숙하지 않은 시장 움직임

오전에 티타임을 길게 갖느라고 에세이를 쓸 시간이 부족했네요. 진짜 아주 간단하게 코멘트 드리고 지나가겠습니다. 간만에 나타나는 현상들이 있어서요… 우선 시장 흐름입니다. 뉴욕 증시는 하락했구요… 특히 대장주라고 할 수 있는 테슬라의 낙폭이 컸답니다. 주식 시장이 흔들리면 보통 달러는 강세를 보이곤 하죠. 네.. 달러가 지난 1주일 정도 상당한 강세를 보이고 있네요. 달러 인덱스 기준으로 89포인트 초반 대까지 하락한 이후에 강한 되돌림을 보이고 있습니다. 유로화나 엔화 대비 되돌림도 강하지만 위안화 대비 되돌림도 강한 편인데요… 제가 많이 보는 지표 중에 역내 위안화(CNY) 환율과 역외 위안화(CNH) 환율이 있습니다. 보통 역내 위안화는 중국 당국에서 일정 수준 입김을 미치곤 하죠. 반면 역외 위안..

2021.02.07 게시됨

[펌] (200108)거대한 괴리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00108)거대한 괴리

뉴욕증시가 연고점을 경신하면서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습니다. 주식 시장의 뜨겁기로는 역사상 상위 몇 %에 들어가는 강세장이고… 실물 경기로만 따지면 역사상 하위 몇 %에 들어가는 침체 라는 얘기를 들었는데요… 공감이 가는 얘기인 듯 합니다. 경기와 주식 시장의 괴리가 이렇게 심해지면… 유동성의 투입이 있을 때 그 유동성이 설비 투자보다는 주식이나 부동산 투자를 선호하게 될 겁니다. 그냥 쉽게 이런 거죠. 경기는 침체 일로인데… 주식 시장은 뜨겁습니다. 왠만한 기업들도 돈이 생기면… 설비 투자를 해서… 고용을 창출해서 물건을 만들고… 이걸 시장에 내다팔 생각을 하기 어렵죠. 경기 침체로 인해 물건이 팔리지 않는 상황인데… 이런 어려운 여건에서 물건을 판다는게.. 참.. 쉽지 않겠죠… 게다가 코로나로 인해 ..

2021.02.02 게시됨

[펌] (210106)연간 전망 총정리 - 금의 시대 3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06)연간 전망 총정리 - 금의 시대 3

연간 전망 종합 정리입니다. 지난 1~5부까지 내용은 음슴체로 정리하구요.. 뒤에 어떤 자산에 관심을 가져야할지를 적을까 합니다. 결론부터 전해드리면 오늘 정리 에세이 제목은 ‘금의 시대 3’입니다. 19년 초, 20년 초에 금의 시대 1, 2를 말씀드렸는데요… 올해도 이어가게 되네요. 내용 적어봅니다. 1. 현재 시장이 뜨거워지는 이유를 성장과 금리에서 찾으려고 함. 성장 사이드를 먼저 보면… 백신 이후에 성장이 강하게 나올 것이라는 기대… 그리고 저축을 하도 많이 쟁여두었기에 경기가 풀리게 되면 쌓아둔 저축까지 줄이면서 상당한 소비를 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가 작용하고 있음. 하나 더.. 달러 약세가 강해지게 되면 Non-US국가들의 소비 역시 크게 개선될 것인데… 이 경우 미국의 소비 경기 회복 뿐 ..

2021.01.31 게시됨

[펌] (210103)연간 전망 5부 - 일본닮은 중국?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03)연간 전망 5부 - 일본닮은 중국?

네. 오늘은 연간 전망 5부를 진행합니다. 길게 이어지다보니.. 오늘 Non-US의 글로벌 공조 편까지 섹션별로는 마무리하도록 하구요… 6부에서 앞의 내용들을 요약 정리하고 결론을 말씀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다 하려니까 스압도 심할 것 같습니다. 네.. 각설하고 바로 들어가겠습니다. 올해 금융 시장을 뜨겁게 달군 요인 중 또 다른 하나가 바로 달러 약세였답니다. 달러 약세가 진행되면서 전세계로 달러가 유입된다는 기대감… 그로 인해 전세계 자산 가격이 오르게 되고… 이에 글로벌 성장까지 강해지면서… 미국의 성장에.. 글로벌 성장이 가세하니… 와.. 성장 폭발… 여기에 전세계 중앙은행은 돈을 뿌립니다. 와.. 그냥 생각만 해도 훈훈해지는 느낌이죠. 이제 달러 약세를 조금 더 파고 들어가봅니다..

2021.01.29 게시됨

[펌] (210101)2021 연간 전망 4부 - Fed의 실질 금리 타게팅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01)2021 연간 전망 4부 - Fed의 실질 금리 타게팅

힘찬 새해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구요~ 오늘은 약속대로 연간 전망 4부를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성장과 금리의 큰 틀로 마켓을 보고 있는데요… 지난 3부까지는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서 말씀을 드렸었죠. 09년의 기억을 통해 정상화에 대한 기대가 워낙 크다는 말씀을 드렸구요… 작용과 반작용을 통해 정상화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부양책의 축소를 언급했었더랍니다. 그리고 3부에서는 높은 저축률이 진정 소비로 이어질지에 대한 의구심을 표명하면서 시장이 기대하는 것보다 어쩌면 성장이 강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결론을 전해드렸죠. 이제 금리 사이드… Fed의 통화 정책 사이드를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실제 Fed의 통화 정책 쪽은요.. 제 에세이에서 너무 자주 다루어서 조금 지루하실 듯 합니다. 지난 6월 이후..

2021.01.29 게시됨

금융

[펌] (201230)2021연간 전망 3부 - 저축률 하락에 대한 기대

연간 전망 3부를 시작합니다. 앞에서 지난 회차를 정리하면서 시작하려니 분량이 너무 길어지는 것 같아서.. 나중에 한 번에 정리를 하도록 하구요… 일단 고고싱입니다.. 아.. 들어가기 전에… 와.. 오늘 겁나 춥네요… T.T 입돌아가는 줄 알았습니다.. 흑흑.. 손이 얼어서 오타가 나더라도 이해 부탁드립니다. 내년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언급할 때 나오는 얘기 중 하나가… 내년에는 소비가 폭발할 것이다.. 라는 겁니다. 일단 올해 소비를 하지 못해서 억눌린 게 워낙에 많다라는 얘기를 하고 있구요… 다음으로 많이 하는 얘기가 저축에 대한 코멘트입니다. 미국의 저축률은 지난 4월 33.7%로 고점을 기록한 이후 빠르게 내려오면서 현재 12% 후반대를 기록하고 있죠. 상당히 낮아졌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과거 평..

2021.01.28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