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펌] (210129)금에 대한 질문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29)금에 대한 질문

오늘은 금에 대한 말씀을 좀 드려볼까 합니다. 연간 전망을 쓸 때 ‘금의 시대3’라는 타이틀을 적었는데요… 이런 질문을 받았습니다. 금 가격이 현 레벨에서 추가로 상승하려면 실질 금리의 추가 하락이 있어야 할텐데.. 지난 번 에세이에 적었던 것처럼 Fed가 기대인플레이션이 올라오는 만큼 명목 금리의 상승을 용인하면 실질 금리의 추가 하락이 어려울 것 아니냐.. 라는 질문이 그 핵심입니다. 전일 시장을 보셔도 느낌이 오시겠지만… 지난 해 Fed의 통화 완화에 힘입어 주식 시장이 달려갈 때에는 돈의 힘으로 주식과 채권의 가격이 모두 올랐죠. 주가도 오르고.. 채권의 가격이 오르니 채권 금리는 내려갑니다. 즉, 주가와 금리가 반대로 가는 그림이었죠. 11월 이후에는 그림이 바뀌게 되는데요.. 백신 얘기가 나오..

2021.02.19 게시됨

[펌] (210127)자산 시장의 작용과 반작용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27)자산 시장의 작용과 반작용

우선 비트코인 질문을 주시는 분들이 계셔서요… 제가 코인 쪽 전문가가 아니기에 우선 공식적으로 답변드리면 잘 모르겠다.. 라는 말씀으로 시작을 하는게 좋을 듯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만 하고 끝내면 너무 성의없어 보이니까요… 부족하나마 이 정도 코멘트를 드리고 지나갈까 하는데요… 우선 2018년 개인 투자자들이 중심이 된 암호화폐 열풍… 당시와 비교하면 지금은 일정 수준 기관 투자자들의 비중이 늘어난 것이 사실입니다. 수급 사이드에서 전문적인 기관 투자자들의 유입은 암호 화폐 가격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겠죠. 이건 분명히 18년 당시와 크게 바뀐 점이 맞는 듯 합니다. 다만 규제 사이드에서는 얘기가 좀 다른데요… 과거 금에 대해 말씀을 드릴 때 금과 암호 화폐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금은 중앙은행이..

2021.02.09 게시됨

[펌] (210124)추가 부양책에도 시장이 무덤덤한 이유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24)추가 부양책에도 시장이 무덤덤한 이유

연초부터 참 명목 금리, 실질 금리… 이런 얘길 한참 해드렸는데요… 이게 참 이해가 잘 안되실 듯 합니다. 많은 분들이 질문을 주셔서… 음슴체로 정리를 해서 올려볼까 합니다. 1. Fed는 기본적으로 기준 금리를 인상, 인하하는 방식으로 통화 정책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금융 위기 이후에는 양적완화라는 방식을 통해 장기 국채를 매입하면서 장기 영역의 시장 금리도 함께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였음. 이는 코로나 사태 직후인 지난 해 3월 더욱 강해지게 되는데, 무제한 양적완화를 통해 실제 시장 금리를 완전히 짓눌러버림으로서 10년 국채 금리와 같은 시장 금리도 Fed가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을 시장에 심어줌. 구체적으로 장기 국채 금리를 통제하는 Yield Curve Control을 시행하고 있지는 않지만..

2021.02.09 게시됨

[펌] (210122)중국이라는 사례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22)중국이라는 사례

지난 번 에세이에서 백신 이후의 시장 회복이 어떤 식으로 나타나는지를 보려면 지금 중국이 가장 적합한 비교 분석 대상이 될 것 같다는 말씀을 드렸던 바 있습니다. 미국하고 중국을 어떻게 비교를 하느냐.. 체제 자체가 다른데.. 라는 반론이 충분히 가능하지만 코로나 사태라는 이례적인 보건의 위기 이후 회복이 되는 케이스 자체를 찾기가 어렵고, 그렇다고 이 케이스를 찾기 위해 1920년대 스페인 독감 이후의 세계와 100년 가까이 지난 지금의 세계를 비교하는 것은 더욱 적절치 않다고 봅니다. 적어도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코로나 사태에서 가장 먼저 돌아선 중국의 상황을 보는 것이 현재로서는 최적이 아닐까 합니다. 시장에서 바라보는 백신 이후의 세상은 완전한 정상화라는 느낌을 받습니다. 낙관론의 가장 큰 핵심..

2021.02.09 게시됨

[펌] (210117)금리가 이렇게 올라도 괜챦을까?(1부)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17)금리가 이렇게 올라도 괜챦을까?(1부)

오늘이 1월 17일이니까요, 코로나 바이러스가 제대로 이슈화된 지 이제 1년이 된 듯 합니다. 처음에는 그닥 큰 이슈는 아닐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는데요..(오히려 이란의 미사일 폭격이 더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었죠) 2~3월을 넘어서면서 글로벌 금융 시장을 이른 바 대혼돈으로 몰아넣었었죠. 이후 역대급 하락과 역대급 상승을 보면서 금융 시장 변동성 관점에서는 정말 다시 보기 힘든 한 해를 만들어내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코로나 사태는 금융 시장 이외에도 실제 우리의 삶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죠. 과거 환경 포스터에서나 볼 수 있었던 모두가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세상을 만들어내었답니다. 저처럼 안경을 쓰고 다니는 사람에게는 겨울철 마스크가 정말 쥐약입니다. 모두가 마스크를 벗고 편하게 다닐 수 있는 그 날..

2021.02.07 게시됨

[펌] (210113)시장 금리가 더!욱! 중요해진 이유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13)시장 금리가 더!욱! 중요해진 이유

전일 뉴욕 시장에 대한 간단한 말씀을 드려보죠. 우선 계속해서 상승하던 미국 10년 금리가 하락 반전에 성공했습니다. 금리 상승에 대한 두려움에 떨던 시장은 당연히 그 순간부터 감동의 도가니에 빠지게 되는데요… 주식 시장은 바로 반등에 나서게 되었고 금 가격도 반등했죠. 금리와 함께 무너져내린 자산은 달러 가치입니다. 금리 상승에 호기롭게 강세를 보이던 달러가 하락하면서 달러 인덱스 기준으로 90.4에서 90으로 내려와버렸답니다. 네.. 무언가 하나의 자산이 움직일 때 동시에 다른 자산이 움직인다라는 것은… 그 자산이 다른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 라는 거겠죠. 지금 시장은 미국의 국채 금리 상승에 상당한 신경을 쓰고 있는 듯 합니다. 그런 움직임이 새해 들어서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죠. 그런데 ..

2021.02.07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