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

(200310)SLR규제에 대한 답변

전일 뉴욕 증시, 제대로 불을 뿜었습니다. 지난 몇 일 동안의 움직임과는 전혀 상반된 모습이 나타났는데요, 나스닥 지수는 4%가까이 상승했지만 다우존스 지수는 강보합 정도에 그치는 모습이었죠. 이유는 간단합니다. 전일 미국 10년 국채 금리가 하락하면서 1.5%초반대로 내려왔죠. 1.6% 선을 두 차례 넘었다가 두 번 다 눌리는 모습이 나타났는데요, 시장에서는 이제 국채 금리 상승세가 거의 끝나간다.. 라고 보는 듯 합니다. 우려를 모았던 국채 금리 상승세가 주춤하자 금리 상승에 의해 눌려있었던 자산들이 스프링처럼 튀어오르게 되죠. 대표적인 케이스가 금입니다. 온스 당 1700불을 하회했던 금 가격이 큰 폭으로 튀어오르면서 1700불선을 회복했구요, 달러가 약세를 보이면서 달러 강세 시기에 가장 힘겨워하..

2021.03.13 게시됨

금융

[펌] (210309)금리 상승에 부담을 느끼는 자산

여전히 미국 국채 금리 상승이 시장에 부담을 주는 듯 합니다. 금리 상승으로 인해 주식 시장 중 금리 상승에 민감한 성장주가 흔들리는 그림이 나왔구요, Fed의 통화 정책 변화 및 금리 상승에 매우 민감한 금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온스 당 1700불을 하회하고 있습니다. 달러화는 강세를 보이고 있고, 달러 강세와 미국 금리 상승이라는 이중 부담이 이머징 시장에 타격을 주고 있네요. 전형적인 미국 금리 상승 시기에 나타나는 충격입니다. ​ 이런 비슷한 그림이 2015년 하반기~2016년 상반기에 일어났었죠. Fed가 15년 12월에 첫 금리 인상에 돌입했습니다. 그러면서 2016년에만 4차례, 2017년에 4차례 추가 인상을 예고했었답니다. 기준 금리는 0.25% 밖에 올리지 않았지만 장기 국채 금..

2021.03.13 게시됨

금융

[펌](200307) YCC vs 오퍼레이션트위스트

오늘은 주말 에세이지만 간단하게 코멘트 드리고 지나갈까 합니다. 미국 장기 금리 상승이 일어나면서… 당장은 아니겠지만 과연 Fed가 어떻게 장기 금리를 누를 수 있는가… 라는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네..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요… 가장 대표적인 케이스가 양적완화입니다. 양적완화를 늘리는 거죠. 양적완화는 장기국채를 매입하는 것이라 했습니다. 미국에서 추가적인 경기 부양책이 통과되면서 시장에서는 국채 발행이 급증할 것이라는 우려를 키우기 시작했죠. 올해만 해도 장기 국채 발행 물량이 2조 달러가 넘는 수준이 될 겁니다. 장기 국채의 발행이 늘어난다는 것은 장기 국채 시장에 들어와서 정부가 돈을 많이 빌려간다는 의미가 되죠. 그럼 국채 공급이 늘어난만큼 국채 가격이 하락하면서 국채 금리가 튀어올라..

2021.03.07 게시됨

금융

[펌] Fed가 바라보는 주가하락의 심각성

미국 국채 금리 상승세가 한풀 꺾이는 것일까요.. 장중 한 때 1.6%까지 치솟았던 미국 10년 국채 금리가 다시금 1.4%대 초반으로 밀려내려왔구요… 장기 금리 상승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던 나스닥 지수는 0.5%정도 반등에 성공하면서 최근 하락세에서 잠시나마 숨을 돌리는 모습입니다. 그런데요… 이런 뉴스가 나오고 있네요. “미국 1.9조 달러 경기부양안 하원 넘어 상원으로”(뉴스1, 21. 2. 27) ​ 이 기사 타이틀을 보시면 느낌이 어떠신가요? 대형 호재인가요? 여기서 중요한 게 하나 있습니다. 어느 시장에 대형 호재인지를 생각해보는 겁니다. 네.. 주식 시장에는 성장을 추동할 수 있으니 좋은 얘기가 될 수 있겠지만 채권 시장에는 그리 좋은 일이 아닐 겁니다. 1.9조 달러를 지출하기 위해 그만큼..

2021.03.05 게시됨

금융

[펌] (200303) 호주가 준 감동

전일 뉴욕 증시를 비롯한 글로벌 금융 시장 큰 폭 강세 전환했죠. 최근 논란의 중심에 있었던 미국 10년 국채금리는 소폭 상승하는데 그치면서 다소나마 진정세를 보였습니다. 국채 금리 상승세가 주춤하자 최근 금리 상승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면서 초긴장 모드를 보였던 나스닥을 비롯한 기술주가 기다렸다는 듯 초강세를 보였죠. 나스닥 지수는 3%이상 상승하면서 지난 주 후반부의 낙폭을 상당 수준 회복했습니다. 그리고 낙폭이 컸던 비트코인과 테슬라의 상승폭도 상당했죠. 그럼 이제 시장이 걱정하던 국채 금리의 빠른 상승세는 어느 정도 지나간 얘기가 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실 수 있는데요.. 일단 전일 글로벌 채권 시장에서의 금리 상승세가 진정된 원인이 무엇인지부터 짚고 넘어가는 게 좋을 듯 합니다. 우선 ..

2021.03.05 게시됨

금융

[펌](210304) Fed의 속내

연 이틀 아침에 엄청 추웠는데 오늘은 날씨가 많이 푹해졌네요. 아침에 별도 회의가 있는 관계로 아주 간단하게 말씀을 드리고 지나가겠습니다. 전일 에세이를 쓰지 못한 관계로 연 이틀 있었던 말씀을 전해드려야 할 것 같은데요… 우선 파월의 후임으로까지 거론되는 라엘 브레이너드 이사가 지금 현재 국채 금리의 상승세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라는 얘기를 했죠. 그러면서 국채 금리의 상승 속도와 채권 시장의 반응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참.. 월가에서도 현재의 금리 상승세를 깔끔하게 눌러주기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는 모습입니다. 아직 만료가 되려면 상당한 시간이 남아있는 파월 의장의 임기까지 얘기하면서 파월의 후임자인 브레이너드가 말했으니… 이제 Fed가 움직일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는 것을 보면요.. 우선 브레..

2021.03.05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