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

[펌](210415) 금리 인상의 시점은 언제일까?

요즘 가장 많이 하시는 질문이 미국 금리 인상은 언제쯤으로 보나… 그리고 테이퍼링은 언제쯤일 것 같나… 라는 겁니다. 시기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참 곤란할 때가 많습니다. 솔직히 잘모르겠지만… 과거 사례를 통해 보았을 때는 이런 그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는데요… 그 얘기를 공유해보죠. ​ 과거 금융 위기 이후의 흐름을 간단히 설명드리죠. 금융 위기 직전 글로벌 금융시장은 인플레이션이라는 단어에 참 민감하게 반응했던 것 같습니다. 중국의 고성장과 배럴 당 150불에 육박하는 국제 유가, 그리고 빠른 약세를 보이는 달러화… 이로 인해 미국의 물가를 비롯한 전세계 물가는 상승 일변도에 있었죠. 그러다가 글로벌 금융 위기라는 거대한 디플레이션의 파고를 만나게 되죠. 당시 Fed가 양적완화를 한다고 했을..

2021.04.16 게시됨

금융

[펌](200414) 달러원 환율 전망

오늘은 달러원 환율 얘기를 좀 드려볼까 합니다. 지난 해 연말 올해 초만 해도 달러 약세에 대한 전망이 힘을 많이 얻었죠. 달러 당 1000원 수준으로 하락한다는 전망도 있었으니까요.. 1050원을 하회할 것이라는 얘기도 많았습니다. 그런데요.. 달러 당 1080원을 저점으로 환율은 고점을 계속 높였구요.. 미국의 국채 금리 상승 속도가 절정이었던 지난 3월에 달러 당 1140원까지 상승한 이후 현재는 달러 당 1120원을 살짝 넘는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왜 이런 변화가 나타났던 것일까요? 우선 연초에 달러 약세를 전망했던 이유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죠. 환율을 볼 때 여러가지 요인들이 있겠지만 성장과 금리가 매우 중요한 팩터가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달러의 약세를 논할 때 위안화의 강세와 함께 두고 ..

2021.04.15 게시됨

카테고리 없음

[펌](210407) SDR증액의 함의

금융 위기 때 집을 나간 성장이 다시 돌아올 수 있을까… 참 오랜 기간 동안 고민해왔던 주제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천성이 낙관론자인지라.. 반드시 돌아온다고 생각하구요… 그러다보니.. 약간 편향은 되어 있지만 그렇게 될 이유를 찾으려는 경향이 상당히 강하죠. 그리고 예전부터 에세이에서 말씀드려왔던 것처럼… 저는 그런 성장의 실마리를 항상 “글로벌 공조”에서 찾으려고 했습니다. 전일 에세이의 끝자락에서 IMF의 SDR증액에 대한 코멘트를 살짝 드리기는 했는데요… 저는 대표적인 공조의 실마리를 여기에서 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게 무슨 소리인지.. 잠깐 생각해보죠. IMF 총재는 신흥국들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차원에서 SDR의 증액을 추진하고 있죠. SDR이 뭐냐… 라는 질문부터 시작하게 될 텐데요… S..

2021.04.08 게시됨

카테고리 없음

[펌](210406) 누나들의 활약

뉴욕 증시, 사상 최고치를 다시 한 번 경신하면서 역사를 새롭게 써나가고 있습니다. S&P500지수는 4000선을 돌파한 이후에도 거침없는 하이킥을 보이고 있구요, 다우존스 지수 역시 35000선을 향해 맹렬히 돌진하는 모양새입니다. 지난 해 9월 초 이후 상대적으로 상승세가 약했던 나스닥 역시 테슬라의 호재와 금리 안정에 힘입어 고개를 들고 있는 모습니다. ​ 지난 주 토요일 새벽 고용 지표 호재 이후 열린 시장이었는데요, 미국의 고용이 강하다.. 미국의 회복이 빠르다.. 라는 기대감은 당연히 미국의 성장에는 긍정적인 요인이 될 겁니다. 미국의 성장이 강하다라고 하면 미국에 투자하고자 하는 수요가 늘어나게 될 것이구요, 미국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달러가 필요하겠죠.. 네.. 달러 수요를 높여서 달러 강세..

2021.04.07 게시됨

카테고리 없음

[펌](210326) 왜 금리가 내렸는데 주가는 주춤할까?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1.61%수준으로 내려왔구요, 국내 금리도 안정세를 10년 기준으로 2.0%밑으로 내려오면서 금리 상승세가 어느 정도 잠잠해지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게 합니다. 다만, 금리가 안정세를 보이면 어김없이 불같이 올라오던 성장주를 중심으로 한 주식 시장의 반응은 생각보다 강하지 않은 것 같구요… 금리 상승에 취약한 모습을 보이는 금 가격 역시 10여일 전 바닥 대비로는 강한 반등을 보이기는 했지만 온스 당 1730불 수준에서 주춤한 상황이죠. 이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 개인적으로는 금리 하락의 이유가 무엇인지를 생각해봐야 할 듯 합니다. 예를 들어서 Fed가 추가적으로 국채를 더 매입한다거나.. 혹은 SLR를 연장하면서 은행들이 국채를 살 수 있..

2021.03.27 게시됨

금융

[펌] (210318)FOMC 간단 리뷰

노트북을 켜니.. 업데이트하신다고 기다리시라는데… 와… 속이 타들어가는 줄 알았습니다. 아침에 회의도 있고 해서 어쩔 수 없이 아주 간단히만 적어보겠습니다. ​ 우선 오늘 새벽 FOMC의 관건은 다음의 네가지였죠. ​ (1) 코로나 패닉 국면에서 도입한 특혜 중 하나인 SLR 완화 조치 연장 여부 (2) 단기 금리 마이너스 하락에 대응하기 위한 IOER인상 여부 (3)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도입에 따른 장기 금리 상승 제어 여부 (4) 뜻하지 않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예상보다 빠른 기준 금리 인상 여부(요게 점도표와 연계되어 있는 거죠) ​ 네.. 이렇게 4가지인데요, 먼저 (4)번은 이번 FOMC에서 파월 의장이 제대로 클리어를 해주었죠. 사실 2주 전부터 장기 금리가 아니라 단기 금리가 상승하는 모습이..

2021.03.20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