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펌] 안 푸는 것일까.. 못 푸는 것일까?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안 푸는 것일까.. 못 푸는 것일까?

#중국의 도약 신호? 각설하고 바로 본론 들어가겠습니다. 일단 금융 시장 상황을 간단히 말씀드리고 가죠. Fed는 3주 연속으로 대차대조표를 축소하고 있습니다. 통화 스왑 등을 통해 진행하는 자금 지원하고 레포 시장에서의 자금 주입을 꽤 빠른 속도로 줄이고 있는데요… 대차대조표가 줄어든다는 얘기는 Fed가 금융 시장으로의 자금 지원에 소극적이라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뭐.. 시장 상황이 좋아졌으니… 줄여도 상관없쟎아…’ 라는 생각을 아마도… 시장 참여자들은 하고 있을 것이구요… 그 이면에는 이런 생각도 존재할 겁니다… ‘아무 문제없어… 나중에 시장이 흔들리면 또 미친 듯이 돈을 풀어줄거니까~~ 파이팅!! ‘ 이런… 느낌..ㅎㅎ 이런 강한 믿음이 존재하니… 실제 PMCCF나 SMCCF 등의 회사채 자금 지..

2020.07.09 게시됨

[펌] 중국! 달린다!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중국! 달린다!

지난 주말 에세이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스탠스가 바뀐 이유에 대해서 실제 기사들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잠시.. 이런 얘기를 하고 시작해보죠. 한국 금리가 0%이고.. 미국 금리가 3%입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어느 나라에 돈을 맡기고 싶어할까요? 당연히 미국에 돈을 맡기고 싶어하겠죠. 왜 그럴까요? 당연하죠… 미국 금리가 훨씬 더 높기 때문이죠… 지난 2012년부터 변화의 물결이 크게 나타나기 시작했더랍니다. 일본은 아베 신조가 총리로 임명되면서 무제한 양적완화의 기치를 들어올렸죠. 2014년 유로존도 양적완화를 도입하면서 돈을 찍어대기 시작했죠. 그리고 이 두 국가 모두 마이너스 금리에 발을 내딛게 됩니다. 반면 미국 경기는 2012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개선되기 시작하면서… 2013~14년..

2020.07.08 게시됨

금융

[펌] 트럼프는 왜 마이너스 금리에 대해 함구할까?

#미국의 마이너스금리 정말 정신없이 하루 하루가 ㅇ흘러갑니다. 글로벌 금융 시장 움직임을 따라가려면 상당한 모니터링이 필요한데… 요즘일이 넘치니 면밀히 들여다볼 시간도 모자라네요… 그런데요.. 가끔.. 이렇게 잠시 떨어져서 마켓을 보다보면… 좀 엉뚱한… 마켓 속에 빠져있을 때는 느끼지 못했던 변화들을 생각해보는 경우도 왕왕 생기곤 합니다. 그 중 하나가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죠. 뭐.. 트럼프 대통령… 뭐 원래 하던 대로 하는데 뭐가 문제일까.. 라는 생각이 드실텐데요… 기사를 한 번 보면서 가시죠. 음.. 지난 5월 10일 경으로 가겠습니다. 당시 뉴욕 증시는 강세를 이어가고있었죠. 시장에서는 추가적인 주가 상승을 위해 보다 완화적인 통화 정책이 필요하다는 시그널을 보내고있었구요… 그러면서 단기 금..

2020.07.07 게시됨

금융

SMCCF 와 PMCCF란 무엇일까

#SMCCF Fed의 최근 회사채매입 정책으로 SMCCF와 PMCCF가 화두되고 있습니다. 이 둘의 정체를 간략히 살펴봅시다. Secondary Market Corporate Credit Facility The Federal Reserve established the Secondary Market Corporate Credit Facility (SMCCF) on March 23, 2020, to support credit to employers by providing liquidity to the market for outstanding corporate bonds. The SMCCF supports market liquidity by purchasing in the secondary market cor..

2020.07.07 게시됨

[보도를 보고] 코로나19 이후 경제구조 변화와 우리 경제에의 영향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보도자료 정리

[보도를 보고] 코로나19 이후 경제구조 변화와 우리 경제에의 영향

[보도참고자료] 코로나19 이후 경제구조 변화와 우리 경제에의 영향 | 보도자료(상세) | 커뮤니케� 한국은행과 관련된 보도자료 제공 게시판 www.bok.or.kr #읽어본 바로는 신문에서 떠들어 대는 것과 일맥상통한 듯합니다. 그 중 새로 알았던 것을 몇가지 가져와 보았습니다. 거시경제학에서 성장파트를 보면 성장을 설명하는 다양한 변수를 배우는데요, 자본스톡은 그 대표적인 변수 중 하나로 공장과 같은 유형의 고정자산은 물론, 저작권, 기술 등 무형의 자산도 포함합니다. IMF는 지난 4월 금리가 낮고 재정여력이 풍부한 나라는 재정지출로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릴 수 있다고 조언한 바 있습니다. 7월 중 나오는 한국판 뉴딜이 바로 그것 정부가 노리는 바 인 듯 합니다. 자본서비스는 경제학에서 '자본'과 아주..

2020.06.29 게시됨

[펌] 은행이 받는 스트레스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은행이 받는 스트레스

글로벌 금융 시장 분위기.. 심상치 않네요. 지난 6월 10일 이후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말씀을 드렸는데요… 미국 S&P500지수는 6월 10일 이후 기록했던… 그 다음 날 6.7%인가 시장이 한 방에 무너질 때의 저점까지 내려왔죠. 그리고 미국 소형주 지수인 러셀 2000의 경우는 6월 11일의 저점을 하회하고 있습니다. 지난 에세이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시장이 이제 악재에 반응을 하기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무제한으로 돈을 주지는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마저 하고 있는 것이죠. 지난 주말 에세이에서 중앙은행들의 스탠스 변화를 말씀드렸는데요.. 이번 주에도 그런 분위기는 계속해서 감지되고 있습니다. 보시죠. 먼저 유럽중앙은행입니다. “지난 6월 유럽중앙은행의 통화정책회의 회의록에 따르면 ..

2020.06.27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