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펌] (210101)2021 연간 전망 4부 - Fed의 실질 금리 타게팅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01)2021 연간 전망 4부 - Fed의 실질 금리 타게팅

힘찬 새해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구요~ 오늘은 약속대로 연간 전망 4부를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성장과 금리의 큰 틀로 마켓을 보고 있는데요… 지난 3부까지는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서 말씀을 드렸었죠. 09년의 기억을 통해 정상화에 대한 기대가 워낙 크다는 말씀을 드렸구요… 작용과 반작용을 통해 정상화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부양책의 축소를 언급했었더랍니다. 그리고 3부에서는 높은 저축률이 진정 소비로 이어질지에 대한 의구심을 표명하면서 시장이 기대하는 것보다 어쩌면 성장이 강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결론을 전해드렸죠. 이제 금리 사이드… Fed의 통화 정책 사이드를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실제 Fed의 통화 정책 쪽은요.. 제 에세이에서 너무 자주 다루어서 조금 지루하실 듯 합니다. 지난 6월 이후..

2021.01.29 게시됨

금융

[펌] (201230)2021연간 전망 3부 - 저축률 하락에 대한 기대

연간 전망 3부를 시작합니다. 앞에서 지난 회차를 정리하면서 시작하려니 분량이 너무 길어지는 것 같아서.. 나중에 한 번에 정리를 하도록 하구요… 일단 고고싱입니다.. 아.. 들어가기 전에… 와.. 오늘 겁나 춥네요… T.T 입돌아가는 줄 알았습니다.. 흑흑.. 손이 얼어서 오타가 나더라도 이해 부탁드립니다. 내년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언급할 때 나오는 얘기 중 하나가… 내년에는 소비가 폭발할 것이다.. 라는 겁니다. 일단 올해 소비를 하지 못해서 억눌린 게 워낙에 많다라는 얘기를 하고 있구요… 다음으로 많이 하는 얘기가 저축에 대한 코멘트입니다. 미국의 저축률은 지난 4월 33.7%로 고점을 기록한 이후 빠르게 내려오면서 현재 12% 후반대를 기록하고 있죠. 상당히 낮아졌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과거 평..

2021.01.28 게시됨

금융

[펌] (201228)2021 연간전망 2부 - 작용과 반작용

연간 전망 2부를 시작합니다. 1부에서는 그런 말씀을 드렸죠. 시장이 기대하는 것보다.. 시장이 기대하는 성장에 대한 브라이트한 뷰보다 어쩌면 실물 경제의 성장세가 실망스러울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해드렸습니다. 그리고 그 근거로 09년 금융 위기 이후의 회복 과정에서 모두들 인플레이션과 성장을 기대하다가… 빠른 정상화를 기대했다가 10년 상반기에 더블딥의 충격에 빠졌었던 케이스와… 코로나의 충격에서 가장 빨리 벗어나서 강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약간의 유동성 공급 죄이기.. 전문 용어로 테이퍼링에 긴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중국에 대한 말씀을 전해드렸습니다. 네.. 백신이 나온 이후 시장이 기대하는 성장이… 다소 실망스러울 것 같다.. 라는 것이 첫번째 에세이의 주제였죠. 두번째 에세이를 적기 전에 잠..

2021.01.27 게시됨

[펌] (201226)2021년 연간전망 1부 - 보건의 회복 VS 경기의 회복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01226)2021년 연간전망 1부 - 보건의 회복 VS 경기의 회복

즐거운 성탄 연휴 보내셨나요? 성탄절 당일날 저녁에 잠시 산책을 다녀오긴 했는데요… 정말 거리가 한산한 것이 사람들이 보이지 않더군요. 그 어느 해보다 성탄절의 환희가 느껴지지 않는 썰렁한 연말이지만.. 아무쪼록 남은 기간 뜻깊은 마무리 하실 수 있기를 바라면서 본론 들어가겠습니다. 말씀드렸었던 것처럼 오늘부터는 연간 전망을 적어볼까 합니다. 언론 보도를 통해서 느껴지는 내년의 전망은 매우 긍정적입니다. 우선 성장 사이드를 보면 백신이 나오게 되면서 사람들은 일터로 돌아갈 것이라는 기대가 매우 강합니다. 워낙에 오랜 시간 동안 힘들어했었기에…. 정상으로 복귀한다는 그 기쁨이란 정말 크겠죠. 그리고 소비 역시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동안 여행을 다니지 못했었기에… 그리고 외식 등을 하지 ..

2021.01.24 게시됨

[펌] (201121)Fed에게 넘어온 공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01121)Fed에게 넘어온 공

코로나 확진자 수가 나흘 연속으로 300명을 넘겼다고 하네요. 정말 이 어둠의 터널이 언제쯤 끝날런지.. 그리고 백신이 진짜 효과가 있는 것인지.. 그리고 언제 나올 것인지.. 참 답답하기만 합니다. 지금같아서는 백신이 나오면 진짜 끝은 날까.. 라는 의구심이 커지는 것도 사실이죠. 저는 지난 3월 팬데믹 국면에서 코로나 사태는 과거 금융 위기와는 사뭇 다르다는 말씀을 드렸었답니다. 가장 큰 이유로 금융 위기는 금융 기관들이 실제 파산을 하는 등 영구적인 상흔을 입은 것이기에.. 금융 위기가 어느 정도 완화된 이후에도.. 새롭게 재건을 해야 하는 기간이 매우 오래 걸린다는 말씀을 드렸죠. 반면 코로나 사태는 눈보라와 같아서 잠시 집에 머물러 있다가 그 눈보라가 떠나면 다시금 직장으로 돌아가서 일을 하면 ..

2020.12.01 게시됨

[펌] (201118)금에 대한 간단한 코멘트~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01118)금에 대한 간단한 코멘트~

지난 8월 하순 이후 금 가격이 계속해서 어려운 흐름을 이어가고 있죠. 온스 당 2050불을 넘어선 이후 1850불까지 하락하는 등 부진한 모습입니다. 금이 이제는 어려운 것 아니냐는 질문을 해주시는 분들이 계셔서.. 아주 간단하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드려볼까 합니다. 우선 앞으로 금은 가망이 없는지를 보려면… 최근 금 가격이 하락한 이유에 대해서 살펴봐야 하겠죠? 금 가격은 두가지에 반응합니다. 첫째는 실물 경제의 성장… 두번째는 (실질)금리죠. 실물 경제의 성장이 강하게 나오면…. 그 성장의 과실을 따먹기 위해 주식에 투자해야겠죠. 주식의 배당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 겁니다. 금리가 높아지면 바로 그 높아진 고금리를 얻기 위해 채권에 투자해야겠죠. 굳이 이자 한 푼 주지 않는 황금색 돌덩이에 투자할..

2020.11.30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