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펌] (210117)금리가 이렇게 올라도 괜챦을까?(1부)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17)금리가 이렇게 올라도 괜챦을까?(1부)

오늘이 1월 17일이니까요, 코로나 바이러스가 제대로 이슈화된 지 이제 1년이 된 듯 합니다. 처음에는 그닥 큰 이슈는 아닐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는데요..(오히려 이란의 미사일 폭격이 더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었죠) 2~3월을 넘어서면서 글로벌 금융 시장을 이른 바 대혼돈으로 몰아넣었었죠. 이후 역대급 하락과 역대급 상승을 보면서 금융 시장 변동성 관점에서는 정말 다시 보기 힘든 한 해를 만들어내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코로나 사태는 금융 시장 이외에도 실제 우리의 삶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죠. 과거 환경 포스터에서나 볼 수 있었던 모두가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세상을 만들어내었답니다. 저처럼 안경을 쓰고 다니는 사람에게는 겨울철 마스크가 정말 쥐약입니다. 모두가 마스크를 벗고 편하게 다닐 수 있는 그 날..

2021.02.07 게시됨

[펌] (210113)시장 금리가 더!욱! 중요해진 이유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13)시장 금리가 더!욱! 중요해진 이유

전일 뉴욕 시장에 대한 간단한 말씀을 드려보죠. 우선 계속해서 상승하던 미국 10년 금리가 하락 반전에 성공했습니다. 금리 상승에 대한 두려움에 떨던 시장은 당연히 그 순간부터 감동의 도가니에 빠지게 되는데요… 주식 시장은 바로 반등에 나서게 되었고 금 가격도 반등했죠. 금리와 함께 무너져내린 자산은 달러 가치입니다. 금리 상승에 호기롭게 강세를 보이던 달러가 하락하면서 달러 인덱스 기준으로 90.4에서 90으로 내려와버렸답니다. 네.. 무언가 하나의 자산이 움직일 때 동시에 다른 자산이 움직인다라는 것은… 그 자산이 다른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 라는 거겠죠. 지금 시장은 미국의 국채 금리 상승에 상당한 신경을 쓰고 있는 듯 합니다. 그런 움직임이 새해 들어서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죠. 그런데 ..

2021.02.07 게시됨

[펌] (210112)익숙하지 않은 시장 움직임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12)익숙하지 않은 시장 움직임

오전에 티타임을 길게 갖느라고 에세이를 쓸 시간이 부족했네요. 진짜 아주 간단하게 코멘트 드리고 지나가겠습니다. 간만에 나타나는 현상들이 있어서요… 우선 시장 흐름입니다. 뉴욕 증시는 하락했구요… 특히 대장주라고 할 수 있는 테슬라의 낙폭이 컸답니다. 주식 시장이 흔들리면 보통 달러는 강세를 보이곤 하죠. 네.. 달러가 지난 1주일 정도 상당한 강세를 보이고 있네요. 달러 인덱스 기준으로 89포인트 초반 대까지 하락한 이후에 강한 되돌림을 보이고 있습니다. 유로화나 엔화 대비 되돌림도 강하지만 위안화 대비 되돌림도 강한 편인데요… 제가 많이 보는 지표 중에 역내 위안화(CNY) 환율과 역외 위안화(CNH) 환율이 있습니다. 보통 역내 위안화는 중국 당국에서 일정 수준 입김을 미치곤 하죠. 반면 역외 위안..

2021.02.07 게시됨

[펌] (200108)거대한 괴리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00108)거대한 괴리

뉴욕증시가 연고점을 경신하면서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습니다. 주식 시장의 뜨겁기로는 역사상 상위 몇 %에 들어가는 강세장이고… 실물 경기로만 따지면 역사상 하위 몇 %에 들어가는 침체 라는 얘기를 들었는데요… 공감이 가는 얘기인 듯 합니다. 경기와 주식 시장의 괴리가 이렇게 심해지면… 유동성의 투입이 있을 때 그 유동성이 설비 투자보다는 주식이나 부동산 투자를 선호하게 될 겁니다. 그냥 쉽게 이런 거죠. 경기는 침체 일로인데… 주식 시장은 뜨겁습니다. 왠만한 기업들도 돈이 생기면… 설비 투자를 해서… 고용을 창출해서 물건을 만들고… 이걸 시장에 내다팔 생각을 하기 어렵죠. 경기 침체로 인해 물건이 팔리지 않는 상황인데… 이런 어려운 여건에서 물건을 판다는게.. 참.. 쉽지 않겠죠… 게다가 코로나로 인해 ..

2021.02.02 게시됨

[펌] (210106)연간 전망 총정리 - 금의 시대 3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06)연간 전망 총정리 - 금의 시대 3

연간 전망 종합 정리입니다. 지난 1~5부까지 내용은 음슴체로 정리하구요.. 뒤에 어떤 자산에 관심을 가져야할지를 적을까 합니다. 결론부터 전해드리면 오늘 정리 에세이 제목은 ‘금의 시대 3’입니다. 19년 초, 20년 초에 금의 시대 1, 2를 말씀드렸는데요… 올해도 이어가게 되네요. 내용 적어봅니다. 1. 현재 시장이 뜨거워지는 이유를 성장과 금리에서 찾으려고 함. 성장 사이드를 먼저 보면… 백신 이후에 성장이 강하게 나올 것이라는 기대… 그리고 저축을 하도 많이 쟁여두었기에 경기가 풀리게 되면 쌓아둔 저축까지 줄이면서 상당한 소비를 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가 작용하고 있음. 하나 더.. 달러 약세가 강해지게 되면 Non-US국가들의 소비 역시 크게 개선될 것인데… 이 경우 미국의 소비 경기 회복 뿐 ..

2021.01.31 게시됨

[펌] (210103)연간 전망 5부 - 일본닮은 중국?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03)연간 전망 5부 - 일본닮은 중국?

네. 오늘은 연간 전망 5부를 진행합니다. 길게 이어지다보니.. 오늘 Non-US의 글로벌 공조 편까지 섹션별로는 마무리하도록 하구요… 6부에서 앞의 내용들을 요약 정리하고 결론을 말씀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다 하려니까 스압도 심할 것 같습니다. 네.. 각설하고 바로 들어가겠습니다. 올해 금융 시장을 뜨겁게 달군 요인 중 또 다른 하나가 바로 달러 약세였답니다. 달러 약세가 진행되면서 전세계로 달러가 유입된다는 기대감… 그로 인해 전세계 자산 가격이 오르게 되고… 이에 글로벌 성장까지 강해지면서… 미국의 성장에.. 글로벌 성장이 가세하니… 와.. 성장 폭발… 여기에 전세계 중앙은행은 돈을 뿌립니다. 와.. 그냥 생각만 해도 훈훈해지는 느낌이죠. 이제 달러 약세를 조금 더 파고 들어가봅니다..

2021.01.29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