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에쎄이 정리

[펌](230614)23년 6월 FOMC 관전 포인트!!

CPI 헤드라인 4%, 7월 CPI 3%초반 예상에도 불구하고 장단기 금리 상승 => 미스터리지만, 코어지표가 덜 떨어진 것을 보면 인플레가 오래갈 수 있다는 시장의 예측이 아닌가 함. 관전포인트 4가지 1. 점도표 변화 2. 자산시장에 대한 발언: 시장강세를 어떻게 진단하는지? 3. 은행위기에 대한 발언 4. 인플레이션 고착화에 대한 발언 (230614)23년 6월 FOMC 관전 포인트!!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전일 밤 CPI발표가 있었죠. 시장의 예상에 부합하는 결과였습니다. 이렇게 되면 연준이 여유를 갖게 되는 건가요? 그래서인지.. 선물 시장에서 6월 금리 인상 확률이 크게 떨어졌죠. 사실 내일 새벽이면 확인하게 될 테니 6월 결과야 크게 중요하지 않을 것..

2023.06.15 게시됨

금융/에쎄이 정리

[펌](230613)일방적 원화 강세!

환율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달러 당 1270원대 초반까지 화끈하게 밀렸네요. 오늘 새벽 역외 환율에서 달러가 1280원대 초반까지 밀려있었고… 그 흐름을 받아서 개장한 이후 달러원 환율이 10~11시를 전후해서 큰 폭 하락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그 즈음에 발표된 미국(중국)의 역 RP 금리 10bp 인하였죠. 7일물 금리를 인하했는데요.. 한국으로 따지면 기준금리를 10bp낮춘 것이라 보면 됩니다.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부채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 인하를 최대한 하지 않으면서 버텼던 중국인데요… 이번에 찔끔이라도 7일 RP 금리를 인하한 겁니다. 리오프닝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회복세를 보이지 않는 중국 경기에 대한 우려… 이를 중국 당국도 공감한 것이라고 보면 되겠죠. 10bp 인하가 중요..

2023.06.13 게시됨

금융

[기사] 킥스&보험사 發 파생상품시장 변화

#킥스 킥스(K-ICS): IFRS-17도입과 동시에 보험사에 적용되는 건전성지표. - 산출기준: 지급여력금액(가용자본: 순자산과 비슷) / 지급여력기준금액(요구자본: 1년 안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률 - 산출기준: 반영한 금액) - 변화: (기존) 자산 시가평가, 부채 원가평가 → (변화) 자산 부채 모두 시가평가 - 요구자본 규모가 커짐에 따라 중소형 보험사 위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3월 기준) #그로 인한 세가지 변화 ① 본드포워드(채권 선도): 본드포워드 만기 시 (기존) 실물인수 → (이후) 차액정산 - 원인: 보험사 입장에서 본드포워드(long)는 헤지목적 금리파생상품으로 ALM관리 도구로 쓰임. - 원인: 차액정산이 늘어나는 이유는 ①실물인수 과정에서 들어가는 현금을 아낄 수 있기 때문. ..

2023.06.13 게시됨

[누키타시] 정당한 복수는 없다.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일상/리뷰

[누키타시] 정당한 복수는 없다.

#누키타시2 정당한 복수 같은건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은 복수에 선악을 붙이는 것이다. 복수에 선악따윈 없다. 그러니까 복수할 권리는 있어도, 정당성 따위라는 것은 있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그것은 우리와 같은 세계에서 사는 것을 무위로 하는 행위니까. 그렇다면, 그러한 미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이기적으로, 같은 세계에 살지 않고, 스스로의 가치로 살 수 밖에 없을까. 그러나 권리로서의 복수를 실행하는 것은 비극이다. 하지만 마음의 미움은 끊어낼 수 있다. 진정한 자신을 이해해주는 소중한 사람. 단 한명이라도 그러한 사람이 되도록 하면 소수자에겐 살아갈 힘을 준다. 이해를 요구하는 것이 필요한 게 아니다. 이해되는 노력이라고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소수자는 언제라도 이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해할 필..

2023.06.12 게시됨

[펌](230610)완전 자산의 아킬레스 건은 무엇일까?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에쎄이 정리

[펌](230610)완전 자산의 아킬레스 건은 무엇일까?

#요약 1. 빅테크라는 완전자산: 강한 고용으로 주식시장 강세(6.2.) + 약한 고용으로 피벗기대 + 풍선효과로 인한 강세(지난주) * 풍선효과의 원인: 금리인상과 인플레이션에 강함 ①부채비율이 낮아 금리인상에 상대적으로 강함 ② 시장장악력이 강해 소비자에 물가전담 가능 2. 2005년 금리인상기 VS 2022 금리인상기 * '2005 ~ '2007: 강한 소비 -> 강한 인플레이션 -> 금리인상 -> 중국의 국채매입으로 인한 장기금리 스크린효과 -> 소비, * '2005 ~ '2007: 생산 지속, 인플레이션 지속 -> 스크린효과 한계에 다다르자 장기물 금리상승 -> 버블 * '2022 ~ 현재: 강한 소비 -> 강한 인플레이션 -> 금리인상 -> 빅테크 위주 상승 -> 피벗기대(22.말) -> 장기..

2023.06.12 게시됨

[펌](230609)호구의 시그널링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보도자료 정리

[펌](230609)호구의 시그널링

(230609)호구의 시그널링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6월 FOMC에 대한 눈치보기가 극심하네요. 6월 FOMC에서 금리를 인상할지 인상하지 않을지에 대한 고민인데요.. 전일 밤 미국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가 높게 발표되자 시장은 흥분했죠. 연준이 6월에 쉬어갈 수 있는 명분을 제대로 쌓아가고 있다는 생각에서 그럴 겁니다. 지금은 6월 연준의 SKIP을 만들어줄 수 있는 무엇이든 시장에는 호재가 될 수 있습니다. 6월에 인상을 안하더라도 7월에 인상하면 큰 차이가 없지 않는가… 라는 생각이 들 수 있는데요.. 이게 얘기가 사뭇 다릅니다. ​ 표면적으로는 한 차례 쉬어가는 것이 맞는데요… 연준이 던지는 시그널이 크게 다를 수 있죠. 시장이 다소 긴장하더라도 인플레를 잡..

2023.06.11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