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8월 경제점검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8월 경제점검

미국 환율: 약달러(수출활성화 가능성), 수입물가 상승(인플레상승, 자산상승). 그러나 약달러를 방어할만한 충분한 동기 있기 때문에 달러하방은 제한됨. 재정정책: 추가실업급여 중단, 부채급증, 추가재정투입 부담스러움 통화정책: 낮은금리, 추가통화완화 부담스러움, YCC에 fed는 선을 그음 부동산: 인플레 상승과 풀린 돈 바탕, 소득대비 낮은 집값 등 상승 예상(데이터송송송참고) 성장: 코로나이슈를 제치고 5월 이후 성장의 빛이 보였으나, 8월 이후 고용지표악화 및 쌍둥이적자 및 부채급증으로 암울 주가: 일부 언택트, 꿈을먹는 기업(나스닥) 위주로 상승 정치: 바이든vs트럼프 11월 대선, 코로나 이슈로 트럼프 열세 외교: 중국과 마찰 지속. 8월 무역협상 무기한 연기. 틱톡 등 IT이슈 지속. 약달러와..

2020.08.23 게시됨

[해명보도] 기재부 해명보도 4건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보도자료 정리

[해명보도] 기재부 해명보도 4건

#1. 2020. 8. 21.(금) 한국경제(가판) 「1주택자 종부세 年232만원→488만원…5년간 2배 뛴다」 기사 관련 □ ’20.8.21(금) 한국경제(가판)은 「1주택자 종부세 年232만원→488만원…5년간 2배 뛴다」 제하의 기사에서 ㅇ “주택을 한 채 보유한 종합부동산세 납부 대상자가 내야 할 종부세가 향후 5년간 두 배가량 증가한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부동산 세제 개편으로 향후 5년간 늘어날 보유세(종부세+재산세) 총 세수는 약 22조원으로 추산됐다. 부동산 세제 강화를 골자로 하는 7·10 대책 당시 ‘1주택자 등 주택 실수요자는 추가로 가중되는 부담이 없다’고 했던 정부 발표를 사실상 반박하는 내용이다.” 라고 보도 □ 종합부동산세 세부담은 미래의 주택가격과 공시가격 등 다양한 요인의 가..

2020.08.23 게시됨

금융

[펌] (200822)성장과 금리, 그리고 실질 금리

오늘도 드릴 말씀이 많은 관계로 각설하고 바로 들어갑니다. 예전에 성장과 금리의 프레임으로 주식 시장의 상승 원리에 대해서 말씀드렸던 바 있죠. 올해 초 같은 경우 코로나 사태로 인해 성장이 제대로 위축되는데.. 금리가 내려오지 않으니.. 주가가 크게 흔들리는 것이라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러나 이후 Fed가 무제한 양적완화를 선언하면서 분위기는 사뭇 바뀌었죠. 성장이 둔화되는 속도 이상으로 돈을 푸는 속도가 빨리진 거죠. 돈이 많이 풀리게 되면… 자금의 공급이 늘어나면서 자금의 가격인 금리가 빠르게 낮아지게 됩니다. 미국 기준 금리는 0%까지 빠르게 인하되었구요.. 미국 10년 국채 금리도 한 때 0.5%까지 낮아지면서 불과 1년여 전만 해도 3%대를 넘던 미국 금리의 빠른 추락을 볼 수 있었습니다. ..

2020.08.23 게시됨

금융

[펌] (200821)달러의 연착륙과 경착륙

전일 뉴욕 증시.. 테슬라가 천슬라가 순식간에 이천슬라를 찍으면서 나스닥을 다시 한 번 사상 최고치를 인도했습니다. Fed가 뭐라하건 간에… 설마 저 호구가 우리를 버리겠어.. 라는 생각… 지금까지 Fed가 해왔던 행보가 워낙에 호구같았기에.. 시장이 이런 생각을 할 수 밖에 없겠죠. 실제 유동성이 지난 3~5월 대비 크게 늘지 않더라도… 기존에 워낙 많이 뿌려두었기에… 그렇게 뿌려둔 유동성이…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되는.. 워낙에 귀한 성장을 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 그런 섹터로 몰리면서 이천슬라가 탄생한 게 아닌가.. 다시 한 번 생각해봅니다. 향후 테슬라와 같은 일부 대형 성장주 이외에는 대안이 부족하다라는 대안 부재론과… 유동성 자체의 공급이 점점 줄어들 것이라는 Fed의 변심론이 이슈가 되지 않을..

2020.08.23 게시됨

금융

[펌] (200820)의사록에서 들킨 Fed의 속내

요즘 게을러져서인지… 새벽에 일어나서 장을 좀 보자고 생각했는데.. 일어나면 출근하기 바쁩니다. 아침에 회사 근처 카페에 와서 커피 한 잔 하면서 에세이를 쓰고 있는데요.. 전일 FOMC 의사록에 밝힌 내용을 설명드리기에도 참 부족한 시간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일단… 의사록 내용이 좀 실망스러웠다는 얘기는 워낙 많은 언론에서 보셨을 테니까요… 오늘은 각론 하나만 짚고 지나가도록 하죠. 일단 기사 인용합니다. 원문 링크를 함께 달아놓을테니까요… 처음부터 꼼꼼히 읽어보시죠. “연준 "YCC 혜택 미미…대차대조표 과도한 확대 위험"(상보)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은 수익률 곡선 제어 방안(YCC:Yield Curve Control)에 대해 이점은 미미한 반면 대차대조표의 과도한 확대 등의 위험이 있..

2020.08.23 게시됨

금융

[펌] (200819)급격한(?) 달러 약세

오늘 새벽 뉴욕 증시에서 가장 눈여겨 볼 지표는 달러 인덱스였죠. 92.1까지 하락하면서 지난 월초 기록했던 92.7포인트를 하회하면서 달러 약세가 보다 빨라지는 듯한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달러 약세는 반대로 유로화와 엔화, 그리고 위안화의 강세를 의미하게 되죠. (이머징 통화는 여전히 전체적으로 메롱이니까요..) 그럼 유럽, 일본, 중국은 자국 통화의 강세 상황에 봉착한만큼 수출 경쟁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그럼 수출보다는 내수로 커야 하는데요… 그럼 이들 국가가 내수로 성장할 수 있는 여력이 있는가.. 그게.. 참… 쉽지 않아 보입니다. 다만 이틀 전 중국이 7000억 위안의 1년짜리 MLF자금을 시장에 풀었는데요 지난 2월 초 이후 이 정도 규모를 푼 건 처음이라고 합니다.ㅎㅎ 위안화 공급을 늘렸음..

2020.08.23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