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

[펌](200830)잭슨홀, 그 역사적 변화(?) 2부

네.. 이제 2부를 시작해보죠. 1부를 읽지 않으신 분들은 2부부터 읽으심 정말 하나도 이해가 되지 않으실 겁니다. 간단하게.. 1부에서 말씀드린 핵심… 잭슨홀 연설에서 파월 의장이 한 얘기는 3가지인데요… 요거죠… 첫째… 고용에서의 편차(deviation)가 아닌 부족(shortfall)에 집중하겠다는 얘기 둘째.. 인플레이션이 지속해서 2%를 하회하는 기간 이후에는 물가가 일정 기간(some time) 동안 2%를 완만하게(moderately) 상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얘기.. 하나가 더 있는데요… 1부에서는 두가지에 대해서 상세하게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이제 세번째로 들어갑니다. 셋째.. 이런 모든 정책은 금융 시스템 안정(financial system stability)에 기반해서 진행되어 ..

2020.08.30 게시됨

금융

[펌](200829)잭슨홀, 그 역사적 변화??

주말 에세이가 매우 긴 관계로… 2부작으로 나눠서 올릴 예정입니다. 우선 1부입니다. 잭슨홀에서의 역사적인 통화 정책 변환… 시장은 평균 물가 목표제(Average Inflation Target)에 대해 그런 평가를 내고 있습니다. 평균 물가 목표제라는 것에 대해서… 설명은 이렇게 되곤 하죠. 기존에 Fed는 물가가 오르는 기미가 보이면 바로 금리를 인상해서 물가 상승을 억제했었음.. 그리고 그 물가 목표치를 2%로 세팅해서… 2% 위로 물가가 올라갈 것 같은 느낌이 날 때 그 액션을 했었음. 그런데... 평균 물가 목표제를 도입하게 되면 과거 물가가 상당 기간 오르지 못했던 기간을 감안해서… 물가가 일정 수준 오버슈팅을 해도 금리를 인상하지 않는 거임.. 이렇게 말합니다. 물가 목표가 2% 물가가 오르..

2020.08.30 게시됨

금융

[펌] (200827)미리 여는 파티

#3줄요약 잭슨홀에서 평균인플레목표제를 도입할 듯 평균인플레목표제는 저금리장기화를 용인 시장은 미리 파티중 #내생각 해외투자자입장에서 보면 미국이 파티를 해도 그게 통화정책기반이기 때문에 약달러로 가면 투자수익이 잘 나올까 싶다. 전일 뉴욕 증시… 주식 시장은 연일 강세를 이어가고 있네요. 나스닥 100지수는 12000고지를 눈 앞에 두고 있습니다. 전일 상승세 역시 FAANG이 주도를 했는데요… 승자 독식이라고 할 정도로 이들의 상승세가 정말 무섭습니다. 달러가 강세이건 약세이건… 금리가 오르건 내리건… 코로나가 확산되건 안되건… 기승전 FANNG이 되니.. 대단한 것 같습니다. 예전에 금 값이 천정부지로 오를 때 그런 얘기가 있었죠. 금은 인플레와 디플레에 모두 강하다구요… 금은 인플레이션 장세에서 ..

2020.08.29 게시됨

금융

[펌](200826)미리 받은 잭슨홀 선물(?)

전일도 나스닥 지수를 중심으로 한 뉴욕 증시가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갔습니다. 일단 닥치고 상승을 외치는 모습.. 너무나 뚜렷이 보이구요… 00년의 나스닥 시장 상승할 때, 07년 하반기에 중국 주식 시장이 상승할 때.. 11년에 차화정이 밀려올라갈 때.. 15년에 중국 주식과 화장품 주가가 오를 때… 17년 말 비트코인 오를 때처럼.. 정말 끊이지 않는 상승을 보는 듯 합니다. 정말 가공할 강세장이구요… Fed가 뿌리는 유동성 뿐 아니라… 기존에 하도 많이 뿌려줘서… 소중하게 담고 있던 유동성… 그리고 대출을 받아서 지를 수 있는 유동성까지 어우러져서 주식 시장에 한풀이를 하고 있는 듯 합니다. 이런 장에서 시장은 낙관론에 주목을 하죠. 어제 장을 밀어올린 요인을 뉴스를 통해 보니까.. 미중 무역 합..

2020.08.26 게시됨

금융

[펌] (200824)절대적이면서 상대적인 달러 강세

지난 주말 에세이에서 물가에 대해서, 그리고 실질 금리에 대해서 의견을 말씀드렸었죠. 거기서 기승전 달러로.. 또 귀결이 되면서 끝났답니다. 달러 약세 상황에서 물가 상승 기대를 밀어올리게 되고… 물가 상승 기대가… 명목 금리의 하락과 만나면서 실질 금리의 하락으로 이어지는 프로세스를 설명드렸었죠. 다만… Fed가 마이너스 금리에 대한 경계감을 크게 표명한 만큼.. 그리고 YCC를 하지 않는 이유가… YCC가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금리가 내려와있음을 말한 만큼…. 현재 0.6%수준까지 내려와있는 명목 금리의 추가 하락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점을 봐야 한다고 했었죠. 그리고 달러 약세가 제한된다면 추가적인 물가 상승 기대 역시 옅어질 것으로 보인다는 점 역시 아울러 전해드렸습니다. 명목 금리의 추가 하락이..

2020.08.25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