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명보도] 기재부 해명보도 4건
장도
·2020. 8. 23. 17:42
#1.
2020. 8. 21.(금) 한국경제(가판) 「1주택자 종부세 年232만원→488만원…5년간 2배 뛴다」 기사 관련
<보도내용>
□ ’20.8.21(금) 한국경제(가판)은 「1주택자 종부세 年232만원→488만원…5년간 2배 뛴다」 제하의 기사에서
ㅇ “주택을 한 채 보유한 종합부동산세 납부 대상자가 내야 할 종부세가 향후 5년간 두 배가량 증가한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부동산 세제 개편으로 향후 5년간 늘어날 보유세(종부세+재산세) 총 세수는 약 22조원으로 추산됐다. 부동산 세제 강화를 골자로 하는 7·10 대책 당시 ‘1주택자 등 주택 실수요자는 추가로 가중되는 부담이 없다’고 했던 정부 발표를 사실상 반박하는 내용이다.” 라고 보도
<기획재정부 입장>
□ 종합부동산세 세부담은 미래의 주택가격과 공시가격 등
다양한 요인의 가정에 따라 크게 변할 수 있음
ㅇ 보도에서 인용한 예산정책처의 분석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연 평균 공시가격 상승률이 향후 5년간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1주택자의 세부담을 전망한 것으로서
ㅇ 이는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종부세 세액의 자연 증가분을 포함하고 있어 금번 종부세법 개정에 따른 1주택자의 세부담 증가로 해석하기에는 부적절
□ 참고로 금번 종부세법 개정은 1주택자의 세율을 0.5%~2.7%에서 0.6%~3.0%로 소폭 인상(+0.1%p~0.3%p)하였으며,
과 표
시 가
2주택 이하
(조정대상지역2주택 제외, %)
3주택이상및
조정대상지역 2주택(%)
현행
개정
현행
개정
3억 이하
11억 이하
0.5
0.6
0.6
1.2
3~6억
11~14억
0.7
0.8
0.9
1.6
6∼12억
14~22억
1.0
1.2
1.3
2.2
12∼50억
22~69억
1.4
1.6
1.8
3.6
50∼94억
69~123억
2.0
2.2
2.5
5.0
94억 초과
123억 초과
2.7
3.0
3.2
6.0
ㅇ 1세대1주택자의 세부담 완화를 위해 고령자에 대한 공제율을 인상하고, 합산 공제한도를 확대하였음
* (고령자 공제) 10~30% → 20~40%, (장기보유 공제) 20~50%
(합산 보유한도) 고령자·장기보유의 합산 공제율은 최대 70% → 80%
ㅇ 이러한 제도를 통해 1주택자의 세부담 증가는 크지 않음
#2
2020. 8. 19.(수) 한국경제「정부 보조금 부정수급, 文정부 들어 3배 급증」 기사 등 관련
< 언론 보도내용 >
□ ’20.8.19.(수) 한국경제「정부 보조금 부정수급 文정부 들어 3배 급증」기사에서,
ㅇ “월 평균 부정수급 의심건수 2016년 22건 → 올 상반기 70건, 정부 복지예산 늘리기 급급하고 사각지대 관리 감독은 소홀하다.”고 보도
< 기획재정부 입장 >
□ 정부는 보조금 부정수급 방지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ㅇ 기사에서 언급한 부정수급 3배 증가는 부정수급「신고건수」로 이는 ‘18.1월「보조금 부정수급 근절방안」을 통한 대국민 홍보 등 신고 활성화 조치의 결과입니다.
* 복지보조금부정신고센터 처리건수: (‘16) 275 (’17) 318 (‘18) 636 (’19) 766 (‘20.6) 423
□ 또한, 지난해 10월 범부처 차원의「보조금 부정수급 관리 강화 방안」을 마련하여 점검 실효성 제고, 처벌․제재 강화 및 인프라 정비 등 지속 추진하고 있습니다.
#3
2020. 8. 13.(목) 매일경제(가판) 「‘113만명’ 7월 실업자 21년만에 최악... 청년 4명중 1명은 백수」 기사 관련
< 언론 보도내용 >
□ ’20.8.13.(목) 매일경제(가판)에서는 지난 7월 청년 확장실업률
(고용보조지표3)이 25.6%를 기록한 것과 관련,
ㅇ ‘청년 4명 중 1명은 백수‘ 라고 보도
< 기획재정부 입장 >
□ 기사에서 인용한 ‘확장실업률(고용보조지표3)’은 “일하고 싶은
욕구가 완전히 충족되지 못한 집단”을 나타내는 비율
* 확장실업률(고용보조지표3)
1) 시간관련추가취업가능자 : 취업자 중에 ①단시간 근로자(36시간 미만)이면서,
②추가취업을 희망하고, ③추가취업이 가능한 자
2) 잠재경제활동인구 : “잠재취업가능자 + 잠재구직자”로 구성
* 잠재취업가능자 : 비경제활동인구 중 ①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였으나,
②지난주에 일이 있었다 하더라도 일할 수 없었던 자(취업불가능)
* 잠재구직자 : 비경제활동인구 중 ①지난 4주간 구직활동은 하지 않았으나, ②지난주에 일을 원했고(취업희망), ③일이 주어졌으면 일할 수 있었던 자(취업가능)
➊ 同 비율 산식의 분모는 ‘청년 전체(890.3만명, 7월 기준)’가
아니라 ‘청년 경제활동인구 + 잠재경제활동인구(491.8만명)*’이므로
* 청년 경제활동인구(420.8만명) + 잠재경제활동인구(71.1만명)
- 확장실업률이 25.6%(약 1/4)임을 근거로
“청년층 전체의 1/4”이 백수라는 설명은 사실과 다름
* 분모를 ‘청년 전체’로 계산할 경우 해당 비율은 14.2%로 감소
➋ “일하고 싶은 욕구가 완전히 충족되지 못한 집단” 전체를 소위 ‘백수’로 지칭하는 것도 사실에 부합하지 않음
- 특히, 同 집단의 구성항목 중 ‘시간관련추가취업가능자’는 현재 직업을 갖고 있는 이로 ‘백수’가 아님
#4
2020. 8. 12.(화) 조선일보 「올해 성장률 OECD 1위… 내년엔 34위 추락 전망」 등 기사 관련
< 언론 보도내용 >
□ 2020.8.12.(수) 조선일보 「올해 성장률 OECD 1위… 내년엔 34위 추락 전망」, 조선일보 「성장률, 금융위기땐 2년 연속 OECD 최상위권…이번엔 올해만 선방」 기사에서,
ㅇ “「OECD 한국경제보고서(8.11일)」에 따르면 한국은 OECD 37개 회원국 중 올해 성장률이 1위, 내년 성장률은 34위“
ㅇ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비교하면 선방이라고 말하기 어렵다”라고 보도
< 기획재정부 입장 >
◇ ’21년 경제성장률은 ’20년 성장 하락폭에 영향(’20년 성장 하락폭이 클수록 ’21년 반등폭도 커질 가능성)을 받게 되므로,
ㅇ 금번 위기중 경제성과 판단시 ’20~’21년 경제성장률을 합산하여 비교하는 것이 보다 타당·정확함
(‘20~’21년 합산 비교) 이번 OECD의 ’20~’21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합산할 경우,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 기록
< OECD 회원국 ’20~’21년 성장률 전망치 합계 >
(위기이전 복귀시기 비교) OECD의 이번 경제성장률 전망을 적용한 국가별 실질 GDP 수준을 계산해 보면, ’21년 실질 GDP가 ’19년을 상회(위기이전으로 회복)하는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함
< 연도별 실질 GDP 수준 추정 >
(글로벌 금융위기와 비교) 기사에서 언급된 금융위기와의 비교에서도, 우리나라는 2년간 경제성장률 합산시 이번 코로나19 위기(‘20~’21년)와 금융위기(‘09~’10년) 모두 1위를 기록한 가운데
ㅇ 2위 국가와의 격차는 이번 위기(’20~’21년 2.8%p)가 금융위기 (’09~’10년 1.2%p)시보다 더욱 크게 나타남
(OECD측 평가) 한편, 8.11일 OECD 사무국과의 화상브리핑에서 한국경제보고서 총괄 책임자(경제검토과장 Dr. Vincent Koen)는
ㅇ ‘이번 한국의 성장률전망 상향은 OECD의 공식적인 성장률 전망 상향이며, 많은 나라들의 성장률 전망이 하향조정되는 가운데 이루어진 매우 드문 사례’라고 언급
- 우리 경제가 OECD 회원국 중 선방하고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한 바 있음
※ < 참고 > OECD 회원국(37개국) 성장률 비교
#총평
너무 의도가 다분한 통계장난질인 듯 합니다...
'금융 > 보도자료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도자료] OECD중간 경제전망 발표 외 (0) | 2020.09.18 |
---|---|
[보도설명] 기재부,「反시장 입법․방만 재정․부동산 규제 …“공무원은 시키는대로 할 뿐”」 및 「靑이 주문해 놓고…여론 나쁘면 ‘공무원’ 탓」 (0) | 2020.09.05 |
[해명보도] 올해 국가채무비율 45.4%에 달하는데…한경연 "40%가 적정" 외 한건 (0) | 2020.07.24 |
[보도자료] 우선주로 장난치는 것 억제하기 (0) | 2020.07.09 |
[보도를 보고] 코로나19 이후 경제구조 변화와 우리 경제에의 영향 (0) | 2020.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