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명보도] 올해 국가채무비율 45.4%에 달하는데…한경연 "40%가 적정" 외 한건

장도

·

2020. 7. 24. 14:21

728x90
반응형

#해명보도정리

 

기레기라는 단어가 굉장히 흔하게 쓰이는 시대...

언론이 스스로 신뢰를 져버린 상황이지만

그렇다고 뉴스를 안볼 수가 있을까요.

어쨋던 새로운 정보는 얻어야죠.

 

그럼 이왕에 뉴스를 볼 거

정부기관에서 해명보도자료를 읽어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그럼 기존 정보에 더해서

반대되는, 혹은 왜곡된, 혹은 오해가 있던 정보가 뭔지 짚고 넘어갈 수 있겠죠?

 

그러므로, 오늘 7월 24일자 조선일보 기사를 봅시다.

 

#국가채무비율

 

올해 국가채무비율 45.4%에 달하는데… 한경硏 "40%가 적정"

올해 우리나라 GDP(국내총생산)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45.4%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한국경제연구원은 23일 재정건전성의 마지노선으로..

news.chosun.com

 

올해 우리나라 GDP(국내총생산)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45.4%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한국경제연구원은 23일 재정건전성의 마지노선으로 여겨왔던 40%가 적정 수준 국가채무비율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경연은 1989~2018년의 OECD (경제협력개발기구) 자료를 바탕으로 성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의 적정 수준을 추정했다. 기축통화국의 적정 국가채무 수준은 97.8~114%에 달하는 반면, 비(非) 기축통화국은 37.9~38.7%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외 의존도가 높은 소국개방경제 14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적정 국가채무비율이 41.4~45%로 추정됐다. 대외 의존도가 높은 나라는 수출입 변동성이 크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비기축통화국이고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암묵적으로 지켜왔던 40%가 적정 국가채무비율"이라고 분석했다.

 

이것이 기사 전문으로, 상당히 짧습니다.

이에 기획재정부는 다음과 같이 반박합니다.

 

□ 한경연은 경제성장률, 기축통화국, 대외의존도의 요소를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적정 국가채무가 40%라고 주장하나
 
 ㅇ 국가채무의 적정수준에 대해서는 이론적으로나,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며
 
 ㅇ 한 국가의 채무 수준은 경제규모, 조세ㆍ재정제도, 정치ㆍ사회적 환경 등 복합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단순히 3가지 요소만을 고려하여 적정수준을 정할 수 없음 (1)
 
 
□ 아울러 연금충당부채가 반영된 부채비율을 국제비교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나, (2)
 
 ㅇ 연금충당부채가 포함된 부채비율을 산출하고 있는 국가는 4개국*에 불과 → 국제비교시 유의미한 기준으로 사용 곤란 
 
     * 호주, 캐나다, 스웨덴, 미국
 
 ㅇ 통상적으로 IMF, OECD 등 국제기구에서 국제비교시 사용하는 기준은 일반정부 부채비율(D2)로서 우리나라는 양호한 수준
 
   * 일반정부 부채(‘18년, %) : (한) 40.0 (미) 106.7 (일) 224.2 (독) 70.3 (OECD) 108.9

 

(1) 코로나 사태를 앞두고 '적정채무'를 논하는게 좀 이상하죠.

채무라는 것은 필요할 때 얼마든지 짊어질 수 있어야 할텐데 말입니다.

그 정도 유도리도 없이 국가 운영을 어떻게 할까요.

또한, 본문만으로는 알 수 없는게 몇가지 있는데요,

조선일보 기사에서 분명 '대외의존도', '경제성장률', '기축통화국' 세가지 변수를 언급하긴 했습니다만,

과연 한경연의 모델에 저 세개만 변수로 들어갔을까요?

그것도 가능성이 희박해 보입니다.

그렇다면, 기획재정부의 (1) 반박은 빛을 잃게 되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한경연의 모델이 얼마나 유의미한지는 따져봐야할 문제이긴 하겠지만요.

밖에서 볼 수 없는 암실에서 굴리는 모델이기 때문에 그 정체를 알 수는 없겠지만

기획재정부 말마따나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적정채무 기준"은 없는 게 맞습니다.

 

(2) 이 내용은 조선일보 기사 내용엔 없는데,

평소 한경연이 주장하는 내용인가 봅니다.

신문을 잘 안보는 저도 옴서감서 본 내용이기도 하니,

조중동매경한경 등에서 받아쓴적도 많아 이 기회에 털고 가는 듯 하네요.

OECD평균 108.9%에 비해서 40%으로 낮기 때문에 안전한 것도 맞지만

아무래도 OECD의 평균을 높이고 있는 국가들이 '기축통화국'인 점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유로존 혜택을 돈독히 보고 있는 독일조차도 70%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한국은 부채발행에 민감할 수 밖에 없지 않나 싶네요.

 

한국경제연구원은 위키에 따르면 130여개 회원사의 회비로 운영되는만큼

기업집단의 이익을 정면으로 반영한다는 점을 짚는다면 저런 주장을 하는 것도 이해가 갑니다.

어쨋건 정부가 정부지출을 늘리는 재원의 상당부분은 법인세일 테니까요.

 

#헬리콥터머니

 

https://www.mk.co.kr/today-paper/view/2020/4565394/

 

"재정지출 계속 稅부담, 차라리 돈 더 찍자?"

헬리콥터 머니 언급한 한은 저금리 등 통화정책 여력 제한돼 기존 쓰지 않던 정책도 언급 다만 한국서 실제 도입 가능성은 낮아

www.mk.co.kr

한국은행이 경기부양을 위해 돈을 찍어서 뿌리는 이른바 '헬리콥터 머니'를 언급하고 나섰다. 지금과 같은 재정지출은 미래에 조세 부담을 키울 수 있어서 발권력을 동원해 시중 유동성을 늘리는 것이 낫다는 주장을 보고서에서 다룬 것이다. 이같은 방식은 물가를 급격히 끌어올릴 수 있어 한국은행이 금기시하던 것이어서 주목을 끈다.


22일 한국은행은 '코로나19 관련 거시경제 주요 이슈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미래 조세부담 증가 우려가 적은 화폐재원 재정지출을 도입해 경기회복에 도움을 줘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고 밝혔다. 화폐재원(money-financed) 재정지출은 중앙은행에서 돈을 찍어내고, 그 돈으로 재정지출을 하자는 주장이다. 정부가 빚을 내(debt-financed) 재정지출을 늘리는 것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정부 빚이 늘지 않는 만큼 미래 재정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후략)

 

기사에서 "~~고 밝혔다"라고 해서, 밝힌 주체를 말하지 않았습니다.

그럼 사람들이 당연히 한국은행 내부 인사가 저리 말했겠구나, 생각하겠는데요.

이번 건은 기자의 실수인 것 같습니다.

한국은행의 해명보도자료를 보시죠.

 

□ '20.7.23일자 매일경제에서는 BOK이슈노트 2020-8호 ‘코로나 19 관련 거시경제 주요 이슈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과 관련
o 한국은행이 경기부양을 위해 돈을 찍어서 뿌리는 이른바 ‘헬리콥터 머니’의 필요성을 언급했으며, 집필자가 이에 대 한 검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고 보도

동 BOK이슈노트는 코로나19와 관련하여 해외 학계에서 논 의되고 있는 주요 이슈들을 정리한 것으로, 이는 한국은행의 제안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해외 학계에서 논의되는 내용이라고 하네요.

이 정도 체크는 충분히 가능할텐데,,, 매경의 의도적인 기사로 의심됩니다.

 

덧붙여, 다음을 보면 한국은행이 해당 보도자료에 반응한게 좀 신선하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한국은행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보도해명자료 목록인데요, 최근 글의 텀이 2달입니다.

2달 만에 쓰는 자료라는 것이죠.

이 정도면 안그래도 기록적인 저금리를 부담스러워하는 한국은행이

머니프린팅까지 할리는 없다고 확신할 수 있지 않을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