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 간단 트럼프 VS 바이든 콜옵션 프리미엄 계산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금융] 간단 트럼프 VS 바이든 콜옵션 프리미엄 계산

금융공학이라는 것을 처음 배울때 옵션을 가치평가하는 모델 중 이항모형이라는 것을 먼저 배웁니다. 그것을 Binomial Model이라고 하고, 가지가 하나 쳐진 1Step부터 시작하지요. 아주 간단하고 적용하기엔 비현실적입니다만... 어쨋든 이번 미국 대선을 보면서 도박사들이 어떻게 베팅을 하는지 갑자기 궁금해지더군요. 그러면서 과연 배당률이 어떻게 형성되어있나 등등이 궁금해져서 좀 찾아봤습니다. RealClearPolitics - Betting Odds - 2020 U.S. President RealClearPolitics - Betting Odds - 2020 U.S. President www.realclearpolitics.com 과연 바이든 대 트럼프는 63.8 : 35.4 정도로 형성되어있습니다..

2020.11.05 게시됨

금융

[펌] (201104)예상보다 좋은 경기와 낙관론

아주 퀵하게 에세이를 작성해봅니다. 시장 반응이 강하게 돌아선 듯한 느낌을 줍니다. 첫번째가 미국과 중국의 제조업 지표가 상당한 호조세를 보였다는 점인데요.. 시장의 예상치보다 훨씬 좋게 나왔습니다. 특히 미국의 경우 ISM제조업 지수가 2년 래 최고치를 기록했는데요.. 4분기부터 둔화될 것이라는 경기가 예상보다 나쁘지 않다… 혹은 오히려 좋다.. 라는… 즉, 너무 4분기 경기에 대해 비관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시장 참여자들이 갖게 한 거겠죠. 지난 주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구글 등이 양호한 3분기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주가가 크게 밀렸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그 실적이 3분기의 실적이었다는 겁니다. 지난 3~4월 팬데믹 국면에서 미국 행정부는 대규모 경기 부양책을 발표하면서 가구 당..

2020.11.04 게시됨

금융

[펌] (201101)세가지 걱정

벌써 11월의 첫 날인데요… 날씨가 다소 꿀꿀한 듯 합니다. 한참 비가 오지 않았는데… 하필.. 꿀꿀한 날씨만큼.. 최근 마켓을 보면서 몇 가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그냥 편하게 한 번 끄적여보겠습니다. 우선 국제 유가입니다. 기억하실지 모르겠는데요.. 지난 3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시장 급락이 본격화된 것이 3월 2주차 부터였죠. 당시 3월 6일인가.. 7일인가.. 일요일이었는데요… 러시아가 감산 공조에서 이탈하겠다는 선언을 해버렸고 사우디 역시.. 아.. 노답.. 이라고 말하면서 증산을 선언했던 때였답니다. 이게 참 사연이 깊은데요… 사우디와 러시아는 국제 유가의 하락을 막기 위해 감산 공조를 하고 있었죠. 그런데.. 이게 왠 떡이냐.. 하면서.. 그 틈을 미국 셰일 기업들이 증산을 하면서 파고 ..

2020.11.04 게시됨

금융

[펌](201030)한계 효용 체감의 법칙

벌써 10월 말이네요… 이제 늦가을도 거의 막바지로 달려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예년같으면 지금쯤 연말 송년회 약속 잡느라, 그리고 빠른 분들은 11월 첫주부터 송년회 참석하시느라 바쁘셨을텐데요… 올해는 그런 분위기는 없는 듯 합니다. 물론 속단은 이르겠지만.. 코로나가 어쩌면 송년회 문화도 상당히 크게 바꾸어놓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혹시 아나요.. 앞으로는 송년회를 점심 식사로 대체하거나 줌과 같은 툴을 써서 화상 회식을 하게 될지… 음.. 헛소리였습니다. 각설하고 시작합니다. 전일 뉴욕 증시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테크주가 중심이 되어서 나스닥을 다시 한 번 끌어올려줬는데요… 장 마감 후 발표된 이들 테크 자이언트들의 실적도 상당히 양호한 듯 합니다. 다만.. 전일 마이크로소프트 실적 발표 ..

2020.11.03 게시됨

금융

[펌] (201029)주가, 유가, 그리고 환율

글로벌 금융 시장 전반의 분위기가 좋지 않네요… 일단 오늘 새벽 장을 잠시 리뷰해보면요… 주가는 급락세를 나타냈죠. 뉴욕 증시 3대 지수가 모두 하락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실적이 매우 좋았는데요… 지난 8월 장이었다면… 이 소식에 3%를 밀어올리면서 끝나야 하는데… 이번 하락장에서는 그 소식을 사뿐히 즈려밟아버린 느낌입니다. 그리고 눈여겨볼 것이 자국 통화 가치 절하에 힘입어 나름 잘 버텨주던 이머징 국가 증시(터키나 브라질 등)도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내었죠. 이머징 통화가 약세인 상황에서 주가도 함께 밀려내려가는 모습이었답니다. 팬데믹으로 인해 직격탄을 맞은 유로존의 충격은 가장 큰 것으로 보이구요… 주식 시장은 선진, 이머징 할 것 없이 모두 흔들리는데요… 이제 채권 시장으로 가 봅니다. 일단 ..

2020.11.02 게시됨

금융/보도자료 정리

[보도자료] 「제27차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

1. 대외 리스크 요인 (시장 전문가 논의결과) □ 시장전문가들은 美 대선(11.3일), 글로벌 자산가격 상승, 금리 반등 원화강세 가능성 등을 주요 대외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ㅇ 美대선의 경우 선거결과의 불투명성 자체가 큰 리스크 요인 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선거결과에 따라 경기부양책 규모, 조세 정책 및 회복속도 등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ㅇ 코로나 이후 실물경제 대비 자산가격 상승강도가 과거 침체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 향후 자산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점도 리스크로 언급되었습니다. ㅇ 아울러, 경기부양책 기대감 등으로 선진국 금리가 상승하고 있고, 달러화 및 위안화 흐름에 따라 환율 하방압력이 상존하고 있어 이를 감안한 정책추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2020.10.29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