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펌] (210203)달러 강세의 이유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203)달러 강세의 이유

오늘은 퀵하게 달러에 대한 말씀을 드려보죠. 지난 해 11월 이후 달러 약세 기조가 강해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컸는데요… 달러 인덱스 기준으로는 90포인트, 달러원 환율 기준으로는 1080원, 달러 위안 기준으로는 6.43위안, 유로 달러 기준 1.23달러에서 일정 수준 되돌림이 나타나는 모습입니다. 달러원 환율은 달러 당 1120원 수준까지 빠른 반등세를 보였구요. 달러 위안 환율은 달러 당 6.46위안, 그리고 유로 달러는 1.20달러까지 하락했죠. 달러 인덱스는 현재 91포인트를 넘어서면서 급격한 달러 약세 기대의 예봉을 꺾어버린 모습입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난 가장 큰 이유.. 이렇게 생각해볼 수 있을텐데요.. 우선 달러의 약세를 맞이하는 다른 국가들의 대응입니다. 중국과 유럽이 대표적인 케이스라고..

2021.02.20 게시됨

[펌] (210130)시장이 느끼는 긴장감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30)시장이 느끼는 긴장감

개인적으로 겨울을 그리 좋아하지 않습니다. 춥다보니… 아침에 이불 속에서 나오는게 불편하더군요. 그러다보니 출근 시간이 10~20분씩 늦어지게 되는데.. 그러다보면 에세이 포스팅 역시 예전보다 조금 더 늦어지는 일이 생기곤 합니다. 솔직히 추워서 그런다기보다는 게을러져서 그런 거겠죠.. T.T 겨울도 이제 막바지를 지난 만큼 담주부터는 몸과 마음을 추스르고 좀 더 일찍, 그리고 자주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그런데.. 일단 지난 한 주 마켓 분위기는 정말 뒤숭숭했죠. 코스피 지수는 3000선을 내주었구요… 다우 존스 지수도 30000선이 무너졌습니다. S&P500지수도 3700선이 위협받았고 나스닥 역시 13000선을 하회하고 있죠. 선진국 주요 지수는 전반적으로 5% 수준의 하락세를 보였는데요..

2021.02.20 게시됨

[펌] (210129)금에 대한 질문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29)금에 대한 질문

오늘은 금에 대한 말씀을 좀 드려볼까 합니다. 연간 전망을 쓸 때 ‘금의 시대3’라는 타이틀을 적었는데요… 이런 질문을 받았습니다. 금 가격이 현 레벨에서 추가로 상승하려면 실질 금리의 추가 하락이 있어야 할텐데.. 지난 번 에세이에 적었던 것처럼 Fed가 기대인플레이션이 올라오는 만큼 명목 금리의 상승을 용인하면 실질 금리의 추가 하락이 어려울 것 아니냐.. 라는 질문이 그 핵심입니다. 전일 시장을 보셔도 느낌이 오시겠지만… 지난 해 Fed의 통화 완화에 힘입어 주식 시장이 달려갈 때에는 돈의 힘으로 주식과 채권의 가격이 모두 올랐죠. 주가도 오르고.. 채권의 가격이 오르니 채권 금리는 내려갑니다. 즉, 주가와 금리가 반대로 가는 그림이었죠. 11월 이후에는 그림이 바뀌게 되는데요.. 백신 얘기가 나오..

2021.02.19 게시됨

리츠 REITs 2편 : 리츠 투자시 고려할 점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리츠 REITs 2편 : 리츠 투자시 고려할 점

리츠 투자시 고려할 점 . . . 1편에 이어서 리츠 REITs 1편 : 한국 리츠시장 개괄 한국 리츠시장 개괄 원래 “한국 리츠시장 분석”이라는 제목으로 시작하려했으나, 분석이라고 하기엔 글이 너무 초라해 개괄로 정리합니다. #리츠란 먼저 리츠(Real Estate Investment Trusts)란, 다수 beerdealer.tistory.com #투자처로서 리츠의 매력 투자 대상을 선정할 때에는 크게 위험과 수익률 두개를 고려해야 합니다. 리츠도 마찬가지로, 투자 자산으로서의 매력을 위험과 수익률에서 찾아야겠죠. 위험과 수익률이라는 키워드로 리츠를 분석해봅니다. #포트폴리오 분산 첫째로, 리츠는 포트폴리오의 리스크를 분산시켜줍니다. 과거 재무관리에서 배웠던 내용을 반추하면, 평균수익률을 높이거나 표..

2021.02.19 게시됨

리츠 REITs 1편 : 한국 리츠시장 개괄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리츠 REITs 1편 : 한국 리츠시장 개괄

#리츠란 먼저 리츠(Real Estate Investment Trusts)란,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 부동산 관련 증권 등에 투자·운영하고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부동산 간접투자기구인 주식회사입니다. 본질은 부동산이지만 형태는 주식회사인 만큼 투자 방법은 주식을 취득하여 지분을 늘리고, 그에 따른 배당을 받는 방식이죠. 리츠는 1960년 미국에서 최초 도입을 시작으로 2000년 이후 유럽 및 아시아로 급속히 확산되었으며, 우리나라는 한참 어려웠던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보유 부동산 유동화를 통한 기업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해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대기업들이 줄줄이 도산하는 와중에 거대한 빌딩을 한번에 인수할 만한 고객이 있을 리가 없겠죠. 그래서 구조조정 대상 기업의 부..

2021.02.11 게시됨

(210128)FOMC 이후..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210128)FOMC 이후..

시간이 좀 늦어서요.. 짧고 간단하게 적고 지나가겠습니다. 주말에 추가 포스팅을 하는 게 필요할 듯 합니다. 일단 FOMC부터 궁금하실 듯 한데요.. FOMC에서는 경기 판단을 낮추고 있죠. 코로나 2차 팬데믹으로 인한 충격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점을 일정 수준 인정한 듯 합니다. 다만.. 여기에 대해서 Fed가 추가적인 부양책을 제시하지는 않고 있죠. 일반적으로 경기 둔화가 사알짝 나타나면 바로 완화적 통화 정책을 쓰면서 돈을 푸는 것이 Fed인데… 파월 기자 회견에서도 전혀 그런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렇게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정책에 대한 힌트는 나오지 않는 반면 기존에 있던 Backstop, 즉 경기부양을 위해 만들어놓았던 프로그램들은 조금씩 줄어들고 있죠. 지난 번 옐런 의장은..

2021.02.10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