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

[펌] Fed가 바라보는 주가하락의 심각성

미국 국채 금리 상승세가 한풀 꺾이는 것일까요.. 장중 한 때 1.6%까지 치솟았던 미국 10년 국채 금리가 다시금 1.4%대 초반으로 밀려내려왔구요… 장기 금리 상승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던 나스닥 지수는 0.5%정도 반등에 성공하면서 최근 하락세에서 잠시나마 숨을 돌리는 모습입니다. 그런데요… 이런 뉴스가 나오고 있네요. “미국 1.9조 달러 경기부양안 하원 넘어 상원으로”(뉴스1, 21. 2. 27) ​ 이 기사 타이틀을 보시면 느낌이 어떠신가요? 대형 호재인가요? 여기서 중요한 게 하나 있습니다. 어느 시장에 대형 호재인지를 생각해보는 겁니다. 네.. 주식 시장에는 성장을 추동할 수 있으니 좋은 얘기가 될 수 있겠지만 채권 시장에는 그리 좋은 일이 아닐 겁니다. 1.9조 달러를 지출하기 위해 그만큼..

2021.03.05 게시됨

금융

[펌] (200303) 호주가 준 감동

전일 뉴욕 증시를 비롯한 글로벌 금융 시장 큰 폭 강세 전환했죠. 최근 논란의 중심에 있었던 미국 10년 국채금리는 소폭 상승하는데 그치면서 다소나마 진정세를 보였습니다. 국채 금리 상승세가 주춤하자 최근 금리 상승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면서 초긴장 모드를 보였던 나스닥을 비롯한 기술주가 기다렸다는 듯 초강세를 보였죠. 나스닥 지수는 3%이상 상승하면서 지난 주 후반부의 낙폭을 상당 수준 회복했습니다. 그리고 낙폭이 컸던 비트코인과 테슬라의 상승폭도 상당했죠. 그럼 이제 시장이 걱정하던 국채 금리의 빠른 상승세는 어느 정도 지나간 얘기가 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실 수 있는데요.. 일단 전일 글로벌 채권 시장에서의 금리 상승세가 진정된 원인이 무엇인지부터 짚고 넘어가는 게 좋을 듯 합니다. 우선 ..

2021.03.05 게시됨

금융

[펌](210304) Fed의 속내

연 이틀 아침에 엄청 추웠는데 오늘은 날씨가 많이 푹해졌네요. 아침에 별도 회의가 있는 관계로 아주 간단하게 말씀을 드리고 지나가겠습니다. 전일 에세이를 쓰지 못한 관계로 연 이틀 있었던 말씀을 전해드려야 할 것 같은데요… 우선 파월의 후임으로까지 거론되는 라엘 브레이너드 이사가 지금 현재 국채 금리의 상승세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라는 얘기를 했죠. 그러면서 국채 금리의 상승 속도와 채권 시장의 반응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참.. 월가에서도 현재의 금리 상승세를 깔끔하게 눌러주기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는 모습입니다. 아직 만료가 되려면 상당한 시간이 남아있는 파월 의장의 임기까지 얘기하면서 파월의 후임자인 브레이너드가 말했으니… 이제 Fed가 움직일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는 것을 보면요.. 우선 브레..

2021.03.05 게시됨

[펌] (210117)금리가 이렇게 올라도 괜챦을까?(1부)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17)금리가 이렇게 올라도 괜챦을까?(1부)

오늘이 1월 17일이니까요, 코로나 바이러스가 제대로 이슈화된 지 이제 1년이 된 듯 합니다. 처음에는 그닥 큰 이슈는 아닐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는데요..(오히려 이란의 미사일 폭격이 더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었죠) 2~3월을 넘어서면서 글로벌 금융 시장을 이른 바 대혼돈으로 몰아넣었었죠. 이후 역대급 하락과 역대급 상승을 보면서 금융 시장 변동성 관점에서는 정말 다시 보기 힘든 한 해를 만들어내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코로나 사태는 금융 시장 이외에도 실제 우리의 삶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죠. 과거 환경 포스터에서나 볼 수 있었던 모두가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세상을 만들어내었답니다. 저처럼 안경을 쓰고 다니는 사람에게는 겨울철 마스크가 정말 쥐약입니다. 모두가 마스크를 벗고 편하게 다닐 수 있는 그 날..

2021.02.07 게시됨

[펌] (210101)2021 연간 전망 4부 - Fed의 실질 금리 타게팅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01)2021 연간 전망 4부 - Fed의 실질 금리 타게팅

힘찬 새해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구요~ 오늘은 약속대로 연간 전망 4부를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성장과 금리의 큰 틀로 마켓을 보고 있는데요… 지난 3부까지는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서 말씀을 드렸었죠. 09년의 기억을 통해 정상화에 대한 기대가 워낙 크다는 말씀을 드렸구요… 작용과 반작용을 통해 정상화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부양책의 축소를 언급했었더랍니다. 그리고 3부에서는 높은 저축률이 진정 소비로 이어질지에 대한 의구심을 표명하면서 시장이 기대하는 것보다 어쩌면 성장이 강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결론을 전해드렸죠. 이제 금리 사이드… Fed의 통화 정책 사이드를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실제 Fed의 통화 정책 쪽은요.. 제 에세이에서 너무 자주 다루어서 조금 지루하실 듯 합니다. 지난 6월 이후..

2021.01.29 게시됨

[펌] (201118)금에 대한 간단한 코멘트~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01118)금에 대한 간단한 코멘트~

지난 8월 하순 이후 금 가격이 계속해서 어려운 흐름을 이어가고 있죠. 온스 당 2050불을 넘어선 이후 1850불까지 하락하는 등 부진한 모습입니다. 금이 이제는 어려운 것 아니냐는 질문을 해주시는 분들이 계셔서.. 아주 간단하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드려볼까 합니다. 우선 앞으로 금은 가망이 없는지를 보려면… 최근 금 가격이 하락한 이유에 대해서 살펴봐야 하겠죠? 금 가격은 두가지에 반응합니다. 첫째는 실물 경제의 성장… 두번째는 (실질)금리죠. 실물 경제의 성장이 강하게 나오면…. 그 성장의 과실을 따먹기 위해 주식에 투자해야겠죠. 주식의 배당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 겁니다. 금리가 높아지면 바로 그 높아진 고금리를 얻기 위해 채권에 투자해야겠죠. 굳이 이자 한 푼 주지 않는 황금색 돌덩이에 투자할..

2020.11.30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