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공정하다는 착각: 1장~3장 (마이클 샌델)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일상/리뷰

(2)공정하다는 착각: 1장~3장 (마이클 샌델)

...1편에 이어서https://beerdealer.tistory.com/306 (1)공정하다는 착각: 서문을 읽고 (마이클 샌델)#마이클 샌델  매주 있는 당근 독서모임에서 뭘 읽을까 하다가,관심있는 분야인 정치철학 서적 중 가장 만만해보이면서 대중적인 것으로 골랐다.[정의란 무엇인가]는 완독하지 못했지만,일전beerdealer.tistory.com  #1장: 승자와 패자포퓰리즘에 대해 진단하는데, 결론은 서문의 그것과 크게 다를 바 없었다. 과거 민중의 지지를 받았던 미국 민주당은 지금 트럼프를 위시한 포률리즘적 권위주의자들의 민주주의 규범 위협에 직면에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는데,스스로 정치적인 "무언가"를 잘못함으로써 그것을 차초했다는 것이다.그리고 그 답은 1980년대 즈음부터 수용한 엘리트주의에..

2024.09.22 게시됨

(1)공정하다는 착각: 서문을 읽고 (마이클 샌델)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일상/리뷰

(1)공정하다는 착각: 서문을 읽고 (마이클 샌델)

#마이클 샌델  매주 있는 당근 독서모임에서 뭘 읽을까 하다가,관심있는 분야인 정치철학 서적 중 가장 만만해보이면서 대중적인 것으로 골랐다.[정의란 무엇인가]는 완독하지 못했지만,일전에 읽었던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에서 "샌댈은 쉽다"란 좋은 인상을 받았기에 이 책을 골랐고서문을 읽은 지금까지는 아직 쉽다는 신뢰가 깨지진 않았다.서문만으로도 앞으로 전개해 나갈 구역의 큰 그림을 그릴 수 있기에 대충 요약하여 글을 올려본다.은 현대 사회에 팽배한 "능력주의"를 해체하는 글이다.  *구체적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않는 듯 하다.    내가 이해한 능력주의는 문재인 대통령 취임사의 그것과 같다  “기회는 평등할 것입니다. 과정은 공정할 것입니다. 결과는 정의로울 것입니다.”   이 중 ⓐ기회의 평등, ⓑ과정..

2024.09.16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