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도자료] 코스닥 잡주로 장난치면 벌어지는 일 X 증선위 제재 사례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보도자료 정리

[보도자료] 코스닥 잡주로 장난치면 벌어지는 일 X 증선위 제재 사례

#불공정거래 불공정거래를 하면 빵에 갑니다. 그런데 작년 4분기에만 총 15건의 불공정거래가 있었다고 하네요. 불공정거래가 뭡니까? 주주의 이익이 아닌 대표 내지는 직원의 이익으로 기업을 이용하는 부정거래, 아직 시장이 알지 못하는 기업 내부정보를 이용해 주가에서 사적인 이익을 보는 미공개정보이용, 그리고 특정 주식을 매집해서 유동성을 컨트롤하는 시세조종이 그것이겠죠. 불공정거래의 최후는 빵입니다. 다만 한국은 미국에 비해 형량이 높지 않기로 유명합니다. 부당이득액 규모가 50억 이상인 경우 5년 이상 징역이지만, 최근 이재용 삼성 부회장의 판결만 봐도 (2년 6개월에 집행유예 4년) 부당이득액을 법정에서 얼마나 특정하느냐에 따라 형량이 손바닥 뒤집듯이 바뀐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무튼, 금융위에서..

2021.02.07 게시됨

[펌](210110)금리가 올라도 괜챦다는 생각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210110)금리가 올라도 괜챦다는 생각

요즘 인플레이션이 찾아온다.. 이제 잠들었던 인플레가 깨어난다.. 이런 얘기가 정말 많이 나오고 있는 듯 합니다. 지난 번 연간 전망에서 전해드렸던 것처럼 부채가 이렇게 많은 상황에서 지속가능한 인플레이션이 나온다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물론… 부채에 대한 모든 고민을 훌훌 털어버리고… 부채가 있지만 없다라는 강한 멘탈을 갖고 생활한다면 빠른 인플레가 나올 수 있죠.. 그런데요.. 아직은 그 단계까지는 가지 않은 듯 합니다. 음.. 그럼 인플레가 안온다고 생각하는 것인가… 라고 하시면 이런 답을 드리죠. 앞서 적어둔 표현을 보시면 인플레라고 적지 않구요… 지속가능한 인플레이션이라고 적었습니다. 지속가능한 인플레는요… 경기가 개선되고 고용이 늘어나면서 임금이 상승할 때… 그 때 나타날 수 있는 거라고 봅..

2021.02.03 게시됨

[펌] (200108)거대한 괴리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00108)거대한 괴리

뉴욕증시가 연고점을 경신하면서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습니다. 주식 시장의 뜨겁기로는 역사상 상위 몇 %에 들어가는 강세장이고… 실물 경기로만 따지면 역사상 하위 몇 %에 들어가는 침체 라는 얘기를 들었는데요… 공감이 가는 얘기인 듯 합니다. 경기와 주식 시장의 괴리가 이렇게 심해지면… 유동성의 투입이 있을 때 그 유동성이 설비 투자보다는 주식이나 부동산 투자를 선호하게 될 겁니다. 그냥 쉽게 이런 거죠. 경기는 침체 일로인데… 주식 시장은 뜨겁습니다. 왠만한 기업들도 돈이 생기면… 설비 투자를 해서… 고용을 창출해서 물건을 만들고… 이걸 시장에 내다팔 생각을 하기 어렵죠. 경기 침체로 인해 물건이 팔리지 않는 상황인데… 이런 어려운 여건에서 물건을 판다는게.. 참.. 쉽지 않겠죠… 게다가 코로나로 인해 ..

2021.02.02 게시됨

[펌] (210106)연간 전망 총정리 - 금의 시대 3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06)연간 전망 총정리 - 금의 시대 3

연간 전망 종합 정리입니다. 지난 1~5부까지 내용은 음슴체로 정리하구요.. 뒤에 어떤 자산에 관심을 가져야할지를 적을까 합니다. 결론부터 전해드리면 오늘 정리 에세이 제목은 ‘금의 시대 3’입니다. 19년 초, 20년 초에 금의 시대 1, 2를 말씀드렸는데요… 올해도 이어가게 되네요. 내용 적어봅니다. 1. 현재 시장이 뜨거워지는 이유를 성장과 금리에서 찾으려고 함. 성장 사이드를 먼저 보면… 백신 이후에 성장이 강하게 나올 것이라는 기대… 그리고 저축을 하도 많이 쟁여두었기에 경기가 풀리게 되면 쌓아둔 저축까지 줄이면서 상당한 소비를 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가 작용하고 있음. 하나 더.. 달러 약세가 강해지게 되면 Non-US국가들의 소비 역시 크게 개선될 것인데… 이 경우 미국의 소비 경기 회복 뿐 ..

2021.01.31 게시됨

[펌] (210103)연간 전망 5부 - 일본닮은 중국?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03)연간 전망 5부 - 일본닮은 중국?

네. 오늘은 연간 전망 5부를 진행합니다. 길게 이어지다보니.. 오늘 Non-US의 글로벌 공조 편까지 섹션별로는 마무리하도록 하구요… 6부에서 앞의 내용들을 요약 정리하고 결론을 말씀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다 하려니까 스압도 심할 것 같습니다. 네.. 각설하고 바로 들어가겠습니다. 올해 금융 시장을 뜨겁게 달군 요인 중 또 다른 하나가 바로 달러 약세였답니다. 달러 약세가 진행되면서 전세계로 달러가 유입된다는 기대감… 그로 인해 전세계 자산 가격이 오르게 되고… 이에 글로벌 성장까지 강해지면서… 미국의 성장에.. 글로벌 성장이 가세하니… 와.. 성장 폭발… 여기에 전세계 중앙은행은 돈을 뿌립니다. 와.. 그냥 생각만 해도 훈훈해지는 느낌이죠. 이제 달러 약세를 조금 더 파고 들어가봅니다..

2021.01.29 게시됨

[펌] (210101)2021 연간 전망 4부 - Fed의 실질 금리 타게팅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금융

[펌] (210101)2021 연간 전망 4부 - Fed의 실질 금리 타게팅

힘찬 새해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구요~ 오늘은 약속대로 연간 전망 4부를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성장과 금리의 큰 틀로 마켓을 보고 있는데요… 지난 3부까지는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서 말씀을 드렸었죠. 09년의 기억을 통해 정상화에 대한 기대가 워낙 크다는 말씀을 드렸구요… 작용과 반작용을 통해 정상화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부양책의 축소를 언급했었더랍니다. 그리고 3부에서는 높은 저축률이 진정 소비로 이어질지에 대한 의구심을 표명하면서 시장이 기대하는 것보다 어쩌면 성장이 강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결론을 전해드렸죠. 이제 금리 사이드… Fed의 통화 정책 사이드를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실제 Fed의 통화 정책 쪽은요.. 제 에세이에서 너무 자주 다루어서 조금 지루하실 듯 합니다. 지난 6월 이후..

2021.01.29 게시됨

반응형